[국가와 정보기술 산업] 중국 정보기술산업의 현황과 전망
- 최초 등록일
- 2004.11.18
- 최종 저작일
- 2004.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레포트 제출용으로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목차
1. 중국 IT산업의 발전목표
2. 중국 IT산업의 발전현황
3. 중국 IT산업의 문제점
(1) 구조적인 문제점
(2) 핵심기술의 낙후
(3) 통신산업의 국가독점
(4) 정보화 보급 수준 낙후
(5) 체제문제 및 인재부족
4. 중국 IT산업의 발전정책 및 전망
(1) 핵심기술의 적극 개발
(2) 통신산업에 대한 구조조정 착수
(3) 인터넷의 보급확대 및 환경개선
5. 중국 전자상거래의 현황 및 문제점
(1) 일반현황
(2) B2C 운영실태
6. WTO 가입후 중국 IT산업의 발전전망
본문내용
또한 WTO 가입을 앞두고 인터넷을 포함한 정보기술 산업을 발전시켜야만 세계 경제무대에서 뒤쳐지지 않는다고 보고 IT산업의 육성을 21세기초 국가의 중점산업 발전전략으로 채택하였다. 2000년1월에 정보산업을 총괄하는 최고권력기구인 '국가 정보화 공작 영도소조'를 정식 발족하여 정보산업부를 위시한 국가발전계획위원회, 재정부, 인민은행 등 관련부처가 공동으로 국가 정보화 사업을 추진하고 또한 금년초 개최된 '전국 정보기술산업 업무회의'에서는 국민경제.사회발전 10.5계획기간(2001-2005)동안 IT 산업에 대한 연평균 20%이상의 성장을 통하여 동 부문의 생산총액을 GDP의 7%까지 끌어올리고 구체적으로는 IT업체 전체 매출액의 1조 5,000억위 및 수출 900억달러 돌파, 통신서비스 수입 1조위엔 달성, 고정전화 가입자 5억명(전화 보급율 약 40%)확보, 반도체 200∼240억개 생산, 소프트웨어 제품 매출액 2,500억위엔을 각각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중국은 국가경제의 전략적 구조조정 및 질적성장으로의 전환,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의 확립, 개혁개방 정책의 지속적인 추진을 위해 향후 정보기술산업 발전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십분 활용할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