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코텀즈(Incoterms) 2010
1. Incoterms 2010의 개관
1) Incoterms 2010의 개관
2) Incoterms 2010의 특징
3) Incoterms 2010의 구성
2. Incoterms 2010의 기본 해설
1) EXW : 공장인도조건
2) FCA : 운송인인도조건
3) FAS : 선측인도조건
4) FOB : 본선인도조건
5) CFR : 운임포함인도조건
6) CIF : 운임·보험료포함인도조건
7) CPT : 운송비지급인도조건
8) CIP : 운송비, 보험료지급인도조건
9) DAP : 도착장소인도
10) DAT : 도착터미널인도
11) DDP : 관세지급인도조건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각 나라의 무역관행의 차이에 따른 무역조건의 해석상의 상이로 발생하는 마찰을 없애고 국제무역거래의 관습과 용어의 통일을 위하여 1936년 1월에 국제상업회의소가 무역조건의 해석에 관한 국제규칙을 제정하였다. 그 후 국제무역환경의 변화에 따라 무역조건의 내용을 개정할 필요성이 생겨 1953년, 1967년, 1976년, 1980년, 1990년 및 2000년 그리고 2010년 걸쳐 7차례 개정하였다.
1) Incoterms 2010의 개관
Incoterms는 International Commercial Terms의 약자로서 정식명칭은 International Rules for the Interpretation of Trade Terms(무역조건의 해석에 관한 국제규칙)를 말한다. 이는 무역거래계약에 있어서 화물거래의 일시 및 장소, 위험의 이전, 소유권의 이전, 운송계약 및 운임의 지급, 보험계약 및 보험료지급, 통관 절차 및 관세지급 및 기타의 경비부담에 대하여 매도인 및 매수인이 어떻게 부담하는가를 국제적으로 통일한 규칙이다.
즉, 수출입상품의 소유권의 이전(인도시점). 비용부담의 범위를 표시한 것으로서 상품의 수도지점은 어딘가, 어느 지점에서 상품은 수출자로부터 수입자에게 인도되는가, 매도인과 매수인에 대한 책임은 어디까지인가, 운임이나 보험료 등의 비용은 누가 어느 지점에서 어느 지점까지 부담하는가를 약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무격거래조건은 크게 출하지인도조건과 도착지인도조건으로 구분되어 이용되고 있다.
2) Incoterms 2010의 특징
Incoterms 2010의 주요한 개정사항은 여럿이나, 목적상 여기서는 다음 4가지를 지적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