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보건의료정책_통합건강증진사업
- 최초 등록일
- 2024.09.18
- 최종 저작일
- 2024.03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노인간호학 과제입니다.
노인 보건의료정책 중 통합건강증진사업에 관한 내용입니다.
꼼꼼히 작성했습니다.! A+ 보장!!!!
목차
Ⅰ. 노인 보건정책(통합건강증진사업) 선정 이유
Ⅱ. 정책 주요 내용
1. 추진배경
2. 사업목표
3. 법적 근거
Ⅲ. 정책 세부내용
1. 신체활동 프로그램 제공
2. 개인별 신체활동 증진 서비스
3. 신체활동 홍보 및 캠페인
4. 신체활동 친화적 환경조성
Ⅳ. 정책 보완점
Ⅴ. 느낀 점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 비율은 1990년 전체 인구수의 5.1%이던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10년에 11.0%를 차지하고 2022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전체인구의 17.5%를 차지하였으며 2050년에는 34.7%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위와 같은 인구 통계학적 수치만 보아도 나를 비롯하여 국민의 대부분이 알고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다른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하여도 가장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로 고령화를 일찍 경험하였으나 그 고령화 진행 속도가 비교적 느렸던 선진국들에 비해 우리나라의 사회가 노년기 관련 건강이나 복지, 사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시간적 여유를 갖지 못한 근본적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근본적 한계를 넘어서 우리에게 다가올 인구 고령화에 따른 정책들을 질병, 치료 중심의 정책 등으로 지금 나타나는 건강 관련 문제 및 사회적 문제를 완화 및 해결하기 위하여 단기계획적인 정책으로의 접근으로는 향후 이어질 고령화 및 초고령화 사회의 복합적인 건강문제와 적절한 복지를 제공하는 데 인력적인 문제 및 금전적인 문제 등으로 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어 질병의 치료나 보호가 아닌 건강 유지를 통해 신체의 기능을 유지하며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계획되어 수행하여야 할 문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하게 되었다.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새롭게 규정한 바와 같이 고령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보건의료서비스의 목표는 건강 노화(healthy aging) 또는 활기찬 노화(active aging)의 달성이라고 목표를 설정하기도 하였다.
참고 자료
보건복지부(2021), 2021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신체활동]
윤종률(2016), 노인의료 관련 정책수립에서 고려해야 할 노인의료의 특성,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책동향 10권 3호]
유해영(2021), 노인간호학, 현문사
영도구보건소 >보건사업>통합건강증진사업
https://www.yeongdo.go.kr/health/01568/01575/03587.web
광주시보건소 >보건*위생 >보건사업 >건강증진> 노인건강증진사업
https://www.gjcity.go.kr/depart/contents.do?mId=0805010600
하남시보건소> 보건사업> 건강증진 사업> 노인건강증진사업> 시니어 운동교실
https://www.hanam.go.kr/health/contents.do?key=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