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감염병 역사
주제:
1. 감염병 역사 관련 학술지 읽고 한페이지로 요약하고
2. 감염병이 인류에게 미친 영향에 관한 자유 주제 정해서 보고서 작성
목차
Ⅰ. 감염병의 역사 관련 학술지 요약
1. 서론
2. 본론
3. 결론
Ⅱ. 감염병으로 인한 낙인과 혐오
1. 서론
2. 본론
3. 결론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감염병의 역사 관련 학술지 요약
김준섭, 「감염병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진공이야기 7(2), 2020, pp.13-17
1. 서론
인류는 감염병과 전쟁을 치르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암이나 심장병, 뇌졸중과 같은 질병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감염병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2003년 SARS. 2012년 MERS, 2019년 COVID-19와 같은 펜데믹 상황에서만 반짝 관심을 가졌으나 인류는 팬데믹 유무와 상관없이 감염병으로부터 자유로웠던 적이 없다.
2. 본론
2.1 역사적 감염병 : 역사적으로 최악의 감염병은 흑사병(black death)이다. 쥐나 벼룩을 통해 매개되는 페스트균이 원인으로 1347년~1351년 동안 유라시아 및 북아프리카 전역을 휩쓸었고 당시 유럽인구 30~60% 가량이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인구를 회복하기까지 200년이 걸릴 정도로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독감바이러스의 경우 매년 발생하는 계절적 전염병으로, 1888-1890년 러시아독감 100만 명, 1918-1920년 스페인독감 5000만 명, 1957-1958년 아시아독감 200만 명, 1968-1969년 홍콩독감 100만 명의 사망자를 냈다. 제1차세계대전 사망자수 2000만 명, 2차세계대전 사망자수 5000만 명인 것과 비교하면 그 위력을 알 수 있다.
참고 자료
앨프리드 W. 크로스비 ,『인류 최대의 재앙, 1918년 인플루엔자』 , 서해문집 , 2010.
마크 호닉스바움, 제호영 역, 『스페인독감부터 코로나19까지 전 세계 전염병의 역사 : 대유행병의 시대』, 커넥팅, 2020.
네이선 울프, 강주헌 역, 『바이러스 폭풍』, 김영사, 2013.
카를로 치폴라, 김정하 역, 『크리스토파노와 흑사병』, 정한책방, 2017.
양태자. 『중세의 잔혹사 마녀사냥: 신의 심판인가 광기의 학살인가? 마녀사냥의 허구와 진실』. 이랑, 2015.
김준섭, 「감염병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진공이야기 7(2), 2020, pp.13-17
김서형, 「공중보건국(USPHS)과 1918년 인플루엔자」, 미국사연구 31, 2010, pp.73-107
김정자. “서양 중세여성의 역할과 지위.” 『여성과 사회』 1 1990, 242-81.
김현민, 「1918년 스페인 독감에 전세계 5천만명 사망했다」, 아틀라스, 2020.
김지혜, 「"뭘 보냐"며 주먹 날렸다···코로나가 부른 유럽 내 동양 혐오」, 중앙일보, 2020. 03. 04.
박설민, 「코로나 확산으로 ‘아시안 혐오’ 심각… 조롱부터 폭력까지」, 시사위크, 2020. 03. 06
이명석, 「20세기 초 스페인 독감과 2020년 코로나19가 아프리카 지역에 끼친 영향에 대한 비교분석과 생태선교적 제언」, 선교와 신학, 52, 2020, pp.139-170
이슬기, 「통합당 "중국인 입국금지는 금기어"…'코로나19 대응' 맹비난」, 연합뉴스, 2020.02.22.
최성훈, 「중세 마녀사냥과 사회적 약자: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선교와신학, 2020, 437-446
황은정. “청교도, 공동체, 그리고 젠더체계에 대한 위협: 17-18세기 뉴잉글랜드지방의 마녀사냥.” 『서양사학연구』 16, 2007, pp.87-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