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심리학_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를 설명하고, 광고 사례를 들어 분석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4.07.24
- 최종 저작일
- 2024.0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직접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참고용으로 사용하세요.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조작적 조건형성
1)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및 특성
2)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
3) 전체 강화와 부분 강화
2. 긍정적강화 광고 사례분석
3. 부정적강화 광고 사례분석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스키너는 조작적 조건형성을 통해 강화물을 제공하면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았는데 이러한 강화에는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강화가 있다. 긍정적강화와 부정적강화가 무엇인지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 후 이를 적용한 광고 사례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조작적 조건형성
1)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및 특성
조작적 조건형성은 스키너(Skinner)에 의해 제시된 개념으로 행동과 보상을 연계해 그 행동을 학습하게 하는 기제를 의미한다. 환경을 조작하거나 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에 이르게 되는 것인데 조작적이란 사람들이 바라는 결과를 얻기 위해 선택적으로 환경에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건형성은 파블로의 고전적 조건형성의 원리에서 더 나아가 개인이 원하는 바를 얻기 위해 자극에 대해 자발적인 반응을 보이는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스키너는 조작적 조건형성의 학습모형을 만들 때 스키너상자의 쥐 실험을 했는데 만일 쥐가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하면 긍정적 강화물에 해당하는 음식을 제공해 주면서 이론을 정립했다. 조작적 조건형성은 고전적 조건형성과 같이 자극일반화와 자극 변별이 일어나지만 강화, 행동 조성, 행동수정 등이 뒤따른다. 파블로프가 정립한 고전적 조건형성은 비자발적이고 아주 단순한 반면,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은 목표를 얻기 위한 의도적 반응이라는 차이가 있다.
참고 자료
소비자심리학, 교재
동국제약 인사돌플러스, 새로운 모델 이보영∙성시경 신규 TV-CF 방영, 팜뉴스, 2022. 1. 19. (출처 :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0528)
아이들의 인터넷 공간에서의 위험을 알리는 공익광고, 2014. 6. 20. 팝코넷(출처 : https://www.popco.net/zboard/view.php?id=com_freeboard&no=77102)
후두암 주세요 금연광고 적법…방영금지 신청 기각, 연합뉴스, 2015.12.31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15123111425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