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한글표준문서(*.hwpx)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한국외대 미네르바인문(1)읽기와쓰기
만점 받은 레포트(+인증 및 피드백 내용), 시험 요점정리, 족보 등등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원론적이고 현학적인 글은 쓰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이나 지치게 하기 십상이기에 레포트는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를 중심으로 디아스포라에 대해 분석했습니다.
목차
1.1차 글쓰기 과제
2.2차 글쓰기 과제
3.최종 글쓰기 과제
4.기말고사대비 요점 정리
5.기말고사문제
본문내용
미디어 속 동아시아 디아스포라 양상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를 중심으로-
파종의 의미를 갖는 디아스포라(diaspora)는 우리말로 ‘~넘어’를 뜻하는 전치사 dia와 ‘씨를 뿌리다’를 뜻하는 동사 spora가 결합한 단어이다. 디아스포라는 초기 유대인들의 강제 이주와 추방의 상황을 지칭하는 단어였으나 근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난민과 이산 인구, 망명공동체, 소수민족의 인구이동 등을 가리키는 말로 의미가 크게 확장되었다. 디아스포라의 정서는 세계인의 삶 속에 녹아들어 있으며, 역사 속 수많은 미디어에서 이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사상 가장 위대한 영화 중 하나로 손꼽히는 <대부>의 배경에는 마피아 가문이 미국 사회 속에서 배척당했던 이탈리아계 이민자들을 보호하는 명분으로 그 세를 확장했다는 사실이 있다. 최근에는 <파친코>, <미나리>와 같이 동아시아 이주민의 삶을 다룬 디아스포라 미디어가 세계적으로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이하 <에에올>)은 2023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여우주연상, 감독상, 편집상 등등 총 7개 부문에서 상을 휩쓰는 쾌거를 이룩하며 하나의 신드롬을 이끌었다. <에에올>의 성공은 아시아 디아스포라 서사에 대한 유례없는 초유의 관심과 광범위한 담론을 끌어내고 있다. 특히나 수 억 달러의 제작비가 투입되는 것이 예삿일인 할리우드 영화계에서 1400만 달러 수준의 제작비로 이만한 성과를 이뤄낸 것은 괄목할 만하다.
<에에올>의 성공에는 디아스포라 정서가 미국과 캐나다 같은 다인종 국가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보편성을 담보하고 있다는 사실이 기저에 깔려 있다. 2020년 기준으로 출생지를 벗어나 타지에서 삶을 영위하고 있는 사람들의 수가 약 2억 8,100만 명이라고 한다. 많은 한국인이 외국으로의 이주를 희망하고 있고, 한국으로의 이주를 원하는 외국인도 상당하다. 오랜 세월 단일민족국가의 벽을 공고히 하여 맥연히 디아스포라와는 거리가 있어 보이는 대한민국에도 격동의 시기 세계에 뿌리내리게 된 민족 이산의 역사라는 과거가 있으며, 다민족. 다문화국가로의 미래도 있다.
참고 자료
Hamid Naficy, An Accented Cinema: Exilic and Diasporic Filmmaking, 2001
[글로벌24 이슈] “오스카는 너무 하얗다”, KBS뉴스, 2016.01.25,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3221520
「세계 난민의 날: 이주자, 이민자, 망명 신청자 그리고 난민, 각 용어의 차이는?」, 「BBC NEWS 코리아」, 2022.6.15, https://url.kr/thu19q
최승영, 「시골 조폭에서 세계적 범죄 조직으로, 마피아의 비밀」, 「Leaderpia」, 2022.07.04, https://www.leaderpia.com/news/articleView.html?idxno=366
이채원, 「영화 <미나리>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문제적 징후들과 내포된 담론들」, 『한국문예비평연구』 제77호,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