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원] 언어학개론 과제_한국어 대화에서 나타나는 화행적 특징
- 최초 등록일
- 2024.06.24
- 최종 저작일
- 2023.04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 과제 주제 : 한국어 대화에서 나타나는 화행적 특징에 대해 3가지 이상 예를 들고,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기술하시오.
총점 A+ 받은 과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어 대화에서 나타나는 화행적 특징
2. 한국어의 화행에 대한 나의 견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화행(speech act)’이란 어떤 말을 함으로써 그 말에 의해 실제로 하게 되는 행위를 의미한다. 질문, 명령, 요청, 사과, 약속, 경고, 선고 등 수많은 행위 등이 포함된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청자가 화자의 화행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해 한국어 대화에서 나타나는 화행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한국어 대화에서 나타나는 화행적 특징
① 간접적인 요구 또는 부탁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요구나 부탁을 원만한 대인 관계 유지를 위해 돌려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화자가 청자에게 에어컨을 끄는 것을 요구할 때 “에어컨 꺼요.”처럼 직접적인 지시가 아닌 “좀 추워진 것 같지 않아요?”와 같이 주변 상황을 제시해 그 상황에 관한 판단을 청자가 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 자료
이성범, 소통의 화용론, 한국문화사, 2015
이해영, 박선희, 이정란, 이민경, 황선영, 하지혜, 이보라미,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담화 화용 연구.1, 한국문화사, 2018
정한석, 최주열, 언어학 개론, 한국문화사, 2018
이은희, 한국어 화행 교육론(‘금지 화행’을 중심으로), 도서출판 한국문화사, 2021
임규홍, 한국어 화용과 담화, 도서출판 역락, 2021
정미진, 한국어 화용 교육, 한국문화사,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