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홍역 참고문헌 완벽함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1개 참고문헌 페이지 연도까지
- 최초 등록일
- 2024.05.26
- 최종 저작일
- 2024.05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I. 문헌고찰
1) 홍역(Measles)의 정의
2) 홍역(Measles)의 원인
3) 홍역(Measles)의 병태생리
4) 홍역(Measles)의 임상양상
5) 홍역(Measles)의 진단적 검사
6) 홍역(Measles)의 치료 및 간호
II. 사례분석
1) 임상사례
2) 간호사정(간호력)
3) 진단검사
III. 건강문제에 따른 간호과정
1) 간호진단 (5개)
2)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Ⅳ. 결론
1) 자아성찰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홍역(Measles)의 정의
홍역은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에 의해 호흡기가 감염되는 질병으로, 특징적인 발진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홍역은 일반적으로 1~2세에 감염되는데, 고열과 전신에 급성 발진의 증상이 나타나는 급성 전염병이다. 이염, 폐렴 합병증 등 2차 감염이 생기기도 한다. 홍역은 주로 비말을 통해 전파되며, 감염력이 매우 높다. 잠복기는 10~14일이며, 발진이 생긴 후 증상 발현 1~2일 전부터 증상 후 4일까지 감염력이 있다. 우리나라 법정감염병의 제2급감염병으로 분류되어 있고, 한번 걸린 후 회복되면 평생 면역을 얻게 되어 다시는 걸리지 않는다.
2) 홍역(Measles)의 원인
홍역은 홍역에 걸린 환자와의 직접 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직접감염과 호흡기계를 통한 비말 감염, 오염된 물건에 의해 감염되는 접촉감염이 있다. 홍역은 RNA 바이러스로 파라믹소 바이러스(Paramyxoviridae)과에 속하며 혈청 항원은 한 가지만 있다. 전구기와 발진기 동안 비인두 분비물이나 혈액, 소변에 바이러스가 존재한다.
원인균으로는 Morbillivirus, a member of the paramyxovirus group 가 있다.
3) 홍역(Measles)의 병태생리
늦겨울과 초봄에 가장 흔하다. 우리나라는 2000년 이번에는 4~6년 주기로 홍역이 유행하였다. 그 이후 홍역 2차 추가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초등학교 입학 전 홍역 예방접종력 확인 가업을 실시한 이후 2006년에는 홍역 퇴치 선언을 하였다. 최근에는 해외에서 유입된 환자에 의한 병원 또는 학교 내 감염이 주요 전파경로로 1년에 수십-수백 명의 환자가 발생하기도 한다. 모체의 수동면역은 생후 6~9개월까지 지속된다. 잠복기는 약 8~12일 정도고 점염기간은 발진이 생기기 4일 전부터 발진이 생기고 4일 후까지이다. 전구기에 전염력이 매우 높다.
참고 자료
정다은, 김병의, 정주영, 김정연, 마상혁, 김창근. (2003). 홍역 후 천명환아의 기도내 세포 양상 및 IL-8치.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6(8), p.763-768.
조결자, 김광주. (1972). 홍역 및 홍역합병증의 간호예. 대한간호 , 11(5), p.31-36.
안상길, 원지은, 차기문, 정용민, 김희섭, 차 한, 박호진. (1996). 소아의 홍역간염 합병증에 따른 임상양상의 비교연구. 서울 적십자병원 소아과 , p.1371-1375
김영혜외,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Ⅰ 개정판, 수문사, 2021, p.476, p.482-485
홍역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amc.seoul.kr) 2024.05.25
N 의학정보( 홍역 [measles] ) | 서울대학교병원 (snuh.org) 2024.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