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노인학대 PPT 자료
- 최초 등록일
- 2024.01.18
- 최종 저작일
- 2024.01
- 38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500원
목차
1. 노인학대 개념
2. 노인 학대의 유형
3. 노인 학대의 현황
4. 노인학대에 대한 대응방안
5. 노인학대 후 사후관리
6. 마무리
본문내용
WHO(세계보건기구)
노인과 신뢰관계에 있는 사람이 노인에게 위해(harm)나 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일회성의 행위 또는 반복적인 행위, 적절한 행위의 결핍
미국과학학술원의 패널들
(1) 수발자 또는 노인과 신뢰관계에 있는 자가 취약한 노인에게 위해 또는 심각한 위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의도적인 행위.
(2) 수발자가 노인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거나 위해로부터 노인을 보호하지 못한 행위.
참고 자료
김경호. (2008). 노인복지법상 노인학대 신고의무제의 주요쟁점 고찰. 법과정책연구, 8(2), 651-669.
강동욱, 문영희. (2018). 노인복지시설 내 노인학대 방지를 위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외법논집, 42(3), 263-292.
국가법령정보센터, 2023, “노인복지법”
권금주. (2015). 노인학대 신고의무제도의 발전방안 연구.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2(1), 39-64.
보건복지부(2023).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의 2022 노인학대 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2022).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의 2021 노인학대 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사회복지법제학회(2020). 시설 내 노인학대 조사 판정 및 처분 절차 개선안 마련 연구.
보건복지부(2015). 노인복지시설 인권보호 및 안전관리지침.
서성운. (2023). 노인학대 대응체제에 관한 고찰 -노인보호전문기관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4(3), 3875-3886.
진정수. (2018). 시설학대 개입의 특성 및 한계. 후견, 1(1), 235-244.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노인정책,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보건복지부(2023).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의 2022 노인학대 현황보고서.
박숙완, (2021). 고령사회 노인학대(虐待) 범죄에 대한 대응방안
- 노인복지법상 노인학대에 관한 규정을 중심으로 - , 교정복지연구, 75, 23-56.
최영진, (2019), 노인학대에 관한 법적 대응방안, 法學硏究, 27(2), 68.
우리나라 노인학대의 실태와 대응체계에 관한 연구, 강춘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