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_배론_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론_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 최초 등록일
- 2024.01.11
- 최종 저작일
- 2023.08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주제: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 통사·화용·관련어 정보를 가르쳐야 하는지 알아봅시다.
또한 선정한 문법 표현을 활용하여 문장, 대화 또는 담화 단위의 연습이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활동 등의 교수 방법도 포함하십시오.
목차
1. 서론
2. ‘-고 싶다’의 용법 [초급]
3. ‘-기 위해’의 용법 [중급]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법이란 언어에 내재하는 체계와 규칙으로 전통적으로는 단어의 어형 변화를 다루는 형태론과 문장 안에 들어 있는 요소의 기능을 연구하는 통사론이 포함되었다. 최근에는 의사소통 능력을 고려하여 글의 의미 또는 뜻을 연구하는 의미론과 의사소통 시 발화에 대해 연구하는 화용론의 연계성까지 고려하여 문법을 제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한국어 의사소통’이기 때문에 문법 교육은 문법에 기술된 규칙과 체계를 바탕으로 한국어를 생성해 낼 수 있도록 문법의 의미를 아는 것을 넘어 문법을 의사소통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시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문법 교육에서는 문법의 의미뿐만 아니라 형태 정보, 제약 정보, 유사 문법 등 다양한 정보를 교수하여 학습자들이 문법의 의미를 아는 것 뿐 아니라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국어 문법 교육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에서 중요하다. 첫째, 문법 능력은 의사소통 능력의 일부이다. 둘째, 문법은 학습자 언어의 생성을 돕는다. 셋째, 문법은 학습자 언어의 정확성을 높인다. 넷째, 문법의 적절한 교수는 언어 학습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유도한다. 외국어로서 한국어문법교육론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
종합하자면 학습자들이 문법을 배움으로써 의사소통 오류를 줄이고, 문법의 다양한 응용을 통해 정확한 언어를 생성해 내며, 언어 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에 문법 교육이 중요한 것이다.
본 과제에서는 한국어 문법 표현을 초급, 중급 수준에서 각 1개씩 선정하여 문법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문법 표현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수업의 교안과 각종 한국어 교재, 표준 교육과정을 참고하여 선정하였다. 제시한 문법 표현의 구체적인 정보는 ‘한국어교수학습샘터’ 홈페이지의 ‘문법·표현 내용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더욱 정확한 내용으로 정리하려고 한다.
참고 자료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이태환 외 3인, 박이정
한국어교수학습샘터, “문법·표현 내용 검색”,
https://kcenter.korean.go.kr/kcenter/search/dgrammar.do
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2단계), 연구책임자: 양명희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론 교안, 배론원격평생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