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아동간호학실습 폐렴 케이스(A+문헌고찰 포함,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씩)
- 최초 등록일
- 2023.12.28
- 최종 저작일
- 2019.08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방법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방법
2015년 연령별 폐렴 진료인원 통계치를 살펴보면, 0~9세의 아동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폐렴은 아동기에 빈번하며 특히 영아와 아주 어린 아동에게 자주 나타나고, 저개발 국가의 사망률과도 관련이 있다. 남구미래아동병원에서 실습하며 폐렴의 진단을 받고 입원한 아동들이 많았는데, 이에 질병의 원인, 증상, 경과, 치료에 대해 연구하여 pneumonia에 대해 알아 대상자에게 적합한 간호를 수행하여 환자의 안위를 증진하고자 연구하였다.
신체검진 및 문진으로 대상자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대상자의 차트와 보호자와의 면담, 면담 시 행동 관찰, 활력징후, 검사 결과를 토대로 참고했다. EMR을 통하여 admission note, progress note, Doctor’s order sheet, lab sheet, 간호기록지, 간단한 신체검진 등을 활용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를 계획하였다. 그리고 인터넷과 교재, 간호사 선생님께 질문을 하여 질병에 관한 자료를 얻어 이를 토대로 간호진단을 세우고 중재, 평가 하였다.
Ⅱ.본론
1.문헌고찰
⦁정의 및 원인
폐렴은 폐포 경화와 관련된 폐실질의 급성염증이다. 폐렴은 직접 걸릴 수도 있고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아이들에서 대부분의 폐렴은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폐렴(community acquired pneumonia, CAP)으로 발생한다.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폐렴은 병원 밖에서 기본적인 장애나 질병이 없는 건강한 아동에게 발생한 폐렴으로 정의된다. 폐렴은 호흡기장애, 신경근육 질병, 병원 내 병원균에 노출 혹은 면역 결핍 등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S. pneumonia는 전체 연령에서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폐렴의 가장 흔한 병원균이지만, 다른 세균이나 바이러스도 폐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어떤 병원균은 특정 연령 집단에서 더 흔하기도 하다.
참고 자료
김희순 외(2017). 아동간호학Ⅰ,Ⅱ. 수문사. p.17-35. p.86-88. p.278. p.286-287.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http://www.snuh.org/pub/infomed)
통계청, http://kosis.kr
제 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2013, 현문사, 차영남 외 13명)
드러그인포 http://ndrug.druginfo.co.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임경춘 외(2017). 건강사정. 정담미디어.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하권). 현문사. p.67-79. p.561-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