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학케이스스터디 진단 및 과정 3개
- 최초 등록일
- 2023.12.13
- 최종 저작일
- 2023.11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사례연구보고서 (Case Study)
Ⅱ. 느낀 점
Ⅲ.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비효과적인 물품관리와 관련된 불충분한 자원관리
상황2
수간호사가 day 시간대에 물품을 점검하면서 응급카트 물품 중 후두경이 잘 작동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점검표에 이상 없다고 표시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물품 보관실에 있어야 하는 물품과 드레싱 카에 있는 소독 물품이 섞여 있었고, 인슐린 펜에 약물에 따라 유효 날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8주로 되어 있어야 하는 약물이 4주로 기록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상자 처치에 필요한 물품을 카트에 적절하게 보충되어 있지 않아 동선이 길어지고, 간호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늘 병실 내에 비치되어 있는 물품 개수보다 실제 물품의 개수가 부족하여 다른 병동에 물건을 빌리러 가거나 계속 물품을 신청하는 일이 잦아졌다.
진단
비효과적인 물품 관리와 관련된 불충분한 자원 관리
(간호업무계획 실현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 및 정보가 충분히 확보되거나 관리되지 못하여 성공적인 결과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
자료
주관적 자료
● 간호사 : “학생 선생님, 별관 3A 병동에서 stretcher car 하나만 빌려다 주세요.”, “학생 선생님, 3A 가서 휠체어 좀 빌려오세요.”, “saturation 기계 어디 있는지 아는 사람?”
● 수간호사 : “비품 개수 카운트할 때 체온계 고장 난 거 확인 안하니?”
● PA 간호사 : “드레싱 세트가 이 것들 밖에 없어요? 더 필요할 것 같은데”
● 보호자 : “보호자 침대 바퀴가 고장 났는데 이거 어떻게 해주시면 안되나요?”
객관적 자료
● 간호사 및 보조 인력이 사용할 수 있는 물품 보관함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의료 기기 및 용품과 개인 물건이 함께 뒤섞여 있음.
● 휠체어가 3개로 가끔 모자라는 모습 관찰됨.
● 체온계가 자주 사라지고 배터리가 부족할 때가 많으며, 그중 하나는 작동하지 않음.
● 처치실에 있는 서랍장 앞의 name tag와 물품 배치가 맞지 않는 경우가 있음.
참고 자료
염영희 외11인 공저(2020). 학습 성과 기반 간호관리학, 경기, 수문사.
윤혜상 외(2009).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청구문화사: 서울.8888888888888888888888888888
장금성 외(2012), 간호 윤리학과 전문직, 현문사.
정면숙 외7인 공저(2016). 알기 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관리학, 서울, 현문사.
정연숙 외(2016). 간호관리학. 현문사: 서울. 퍼시픽 학술편찬국. (2020). NURSING MANAGEMENT. Pacific Book
한금선 외 (2014). 제3판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론. 고문사: 서울.
홍영주. (2009). "의료진간 효율적 의사소통을 위한 활동." 가을학술대회 2009.3: 863-865.
Lisa Kennedy Sheldon(2010). 간호사를 위한 의사소통. 군자출판사: 서울.
간호사신문. 간협 ‘신규간호사 교육관리체계 가이드라인’ 개발.
http://www.nursenews.co.kr/main/ArticleDetailView.asp?sSection=57&idx=24574. (23. 10. 30)
의학신문. 간호, 프리셉터 간호사, '환자 케어-교육 담당' 업무 과중 초래.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6528. (23. 10.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