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 교수님 극찬 성인간호학 실습 가능한 간호진단, unstable 간호과정 2개 (반복되는 관상동맥 협착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가슴압박과 관련된 통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능한 간호진단 (9개, 모두 교수님께 컨펌 받은 간호진단 입니다!)
2. 간호과정
1) 반복되는 관상동맥 협착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2) 가슴압박과 관련된 통증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진단적 중재]
1. 심장 조직 관류 감소로 인해 호흡수 증가, 맥박이 감소하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2. 현재 불안정형 협심증이 심근경색으로 진행됨을 모니터링하기 위함이다.
3. 심전도 모니터링을 통해 역전 T파, ST분절 하강/상승등의 이상 징후가 없는지 관찰하기 위함이다.
4. 부작용(부종, 두통, 맥박감소, 얼굴 붉어짐, 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움, 신경과민, 발진, 위장장애, 무기력 등)을 관찰하고, 부작용에 따른 중재를 하기 위함이다.
5. 심근허혈의 경우 흉통 유발하며, 통증 양상을 비교해 협심증과 심근경색을 비교하며 관상동맥 협착의 악화 정도를 빠르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6. TTE 검사상, 관상동맥 협착/좌심부전으로 Ejection fraction, 심박출량이 저하되어 있다.
7. 항혈전제 사용 후, 대상자의 출혈 소견을 확인한다. (bp, hb, rbc, 위장관출혈에 따른 melena 등)
8. 당뇨병은 관상동맥질환이나 고혈압과 관계없이 심부전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심근증의 원인이 되기도 함. 심부전도 아직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진 않았지만, 포도당 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참고 자료
백유진, 윤종률(2014), 아스피린의 심혈관질환 및 암 예방효과, 대한의사협회 57(4), 348-356p.
김기식, 한성욱(2000), 협심증의 진단, 대한내과학회지, 58(3), 253-256p.
홍경표(2001), 협심증의 약물치료,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60(6), 597-599p.
허혈성 심질환 임상연구센터, 허혈성심질환 표준진료권고안 2013
김기식 외 1인 (2000). 협심증의 진단, 대한내과학회지, 58(3)
설상훈 (2019). 심부전: 2형 당뇨병의 합병증,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20(1)
황옥남 외(2017), 성인간호학 7판, 현문사, 623-693p.
삼성서울병원 심혈관질환예방, 니트로글리세린 복용 교육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XB301&MENU_ID=003018
연합뉴스 2016.12.01."세브란스병원, 협심증 환자 449명 분석결과 협심증에 '스타틴' 고용량 투여하면 심장병 감소“
https://www.yna.co.kr/view/AKR2*************017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약학정보원 의약품검색,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