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_강의참관일지(이름)_02_230319
- 최초 등록일
- 2023.07.27
- 최종 저작일
- 2023.03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한국어교육 자격증 취득을 위한 참관실습일지입니다.
참관시간 50분, 중급2(4단계)
◆ 학습자 수 : 총 11명(파키스탄 1명, 방글라데시 3명, 네팔 3명, 캄보디아 1명, 베트남 2명, 스리랑카 1명)
◆ 수업주제 :『한국어와 한국문화』9과 사건과 사고 5/5차시
◆ 차시목표 : 사건이나 사고 경험에 대해 글을 쓸 수 있다.
목차
1. 참관내용
1) 도입
2) 제시
3) 연습 및 활용
4) 정리
2. 참관소감
1) 교수자의 언어 및 태도
2) 학습자 참여 및 피드백 과정
본문내용
[수업 진행 과정]
- 학습주제와 내용에 맞게 배웠던 단어나 어휘를 계속 환기시키고, 반복할 수 있게 지원하는 도입이 중요하다고 느낀 것이 장기기억으로 학습내용이 넘어가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그 단어를 떠올리게 하고,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도입 부분에서 교수자의 화두가 상황 맥락으로 매우 적합했고, 학습목표와 자연스럽게 이어지면서 각 나라의 자주 일어나는 사고는 어떤 것이 있는지 말하기 활동으로 연계되어 학습자들의 학습 흥미를 유도하는데 좋았던 것 같다.
- 제시 단계에서 쓰기 활동 전에 한국의 사고와 각 학습자들의 나라에서 자주 일어나는 사고에 대해서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논리적으로 경험을 얘기해보는 시간이 유용하다고 느꼈다. 각자 바로 쓰기 활동을 하면, 어떤 것부터 쓰기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 연습 단계에서 교수자가 지문을 읽어주면서 단어와 내용을 확인할 때, ‘그런데’나 ‘덕분에’ 뒤에는 어떤 내용이 올지 물어보고, 학습자가 잘 이해했는지 파악하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 쓰기 수업이지만, 모든 수업이 그렇듯 쓰기만 하는 수업이 되는 것이 아니라 생각한 것을 말하고 또 상대방이 말하는 것을 듣고, 듣고 말한 것을 쓰고, 쓴 것을 읽을 수 있는 수업이 진정으로 자연스럽고 매끄러운 수업이라는 것을 몸소 체험한 시간이었다.
참고 자료
한국어와 한국문화 중급 2,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이미혜 외, 출판 하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