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 국어사 고대어부터 근대어 개관까지
- 최초 등록일
- 2004.06.16
- 최종 저작일
- 2004.06
- 3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무료

다운로드
소개글
한 학기동안 국어사 수업을 들으면서 책내용과 교수님께서 수업하신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시험공부나 노트정리과제에 도움이 되실겁니다.
목차
제 1 장 서설
제 2 장 국어의 계통
제 3 장 고대어
제 4 장 전기중세어
제 5 장 후기중세어
제 6 장 근대어
본문내용
1. 국어학의 영역
- (음성학), 음운론, 문법론(형태론과 통사론), 의미론
2. 국어사의 연구방법론
F.Saussure「일반 언어학의 강의」- 현대언어학의 출발점이 됨
1) 공시적 방법론 (synchronic) - 언어를 횡적으로 연구, 하나의 시기로 잘라서 언어현상 을 다룸. 공시언어학.
「독일어문법」이나「라틴어문법」
2) 통시적 방법론 (diachronic)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언어를 종적으로 다룸. 통시언어 학. (예) 국어 모음조화 현상의 시대적 변천을 연구
3. 국어사 공부의 필요성
- 국어사를 알아야 풀 수 있는 언어현상의 문제가 있다.
'팔, 파리, 참기름, 말'을 제주도에서는 '폴, 포리, 촘기름, 몰'이라고 함.
중세국어에서는', 리, 기름, '이었음.
4. 국어사란
- 한국어의 통시적인 변천사를 체계적으로 서술한 것으로 공시적인 연구가 바탕이 되어 야 함.
5. 국어사 연구의 궁극적인 과제
- 언어사 전반을 지배해 온 일반적인 법칙을 찾고 우리의 민족사를 수립하기 위함임.
6. 국어사 연구의 목적
1) 우리의 역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2) 고전문학작품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3) 현대 국어 이해에 큰 도움을 주기 때문에
'멧새'나 '멧부리'의 기원이 '뫼'에서 왔음
1. 언어의 변천 變遷
언어의 변천은 언어체계의 전반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일정한 흐름, 규칙성이 있으며 특 히, 음운의 변화는 규칙성을 더 많이 가지고 있음.
F.Saussure의 언어의 변화에 대한 태도
참고 자료
국어사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