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언서] 정감록
- 최초 등록일
- 2004.05.28
- 최종 저작일
- 2004.05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정감록의 내용 소개
1. 정감록에 대한 학자들의 고증
2. 정감록 판본, 구성, 별칭
(1)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판본
(2) 판본별 [정감록] 구성
(3) [鄭鑑錄] 별칭
(4) [정감록]의 저작 연대 추정
3. 정감록 '중심 텍스트' 분석
(1) [鑑訣] 원문과 번역
(2) 정감록 내용분석
(3) 한반도 遷都論史에 본 [정감록]의 의의
Ⅲ. 정감록이 영향받은 사조와 다른 예언서의 소개
Ⅳ. 정감록의 시대 배경
1. 붕당정치 및 세도정치
2. 왜란과 호란
Ⅴ. 정감록의 영향
(1) 민중사상, 신앙으로서의 역할
- ⊙ 한국 신종교에 영향을 준 역사이론
(2) 반봉건적 운동의 이념적 구심점.
Ⅵ. 정감록의 이해와 한계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미래를 미리 알고자 하는 욕망은 어느 곳, 어느 시대에나 있어왔다. 그 예언의 방식 또한 무척 다양하고 개인적인 예언에서부터 국가의 운명을 예언하는 것까지 그 범위 또한 매우 다양하다.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했다는 현대사회에서도 운명과 미래를 점쳐보는 일은 매우 흔한 일로서 오히려 요즈음은 운세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전통적인 점술방식에서부터 사주카페, 인터넷과 전화를 이용한 점술마케팅도 성행하고 있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미래를 알고 싶은 본능적 욕구가 있으며 불확실성이 높은 전환기일수록 이런 욕구가 커진다고 하는데 오늘날의 급격한 사회변동과 우리나라의 불안한 사회상황으로 인해 지금의 운세 열풍이 촉발된 것이라는 시각이 있다. 과거에도 이러한 현상은 마찬가지로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도참서인 정감록이 나타난 시기 또한 이러한 근거로 추론되고 있다.
Ⅱ. 정감록의 내용 소개
정감록(鄭鑑錄)은 조선시대이래 민간에 은밀하게 유포되어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예언서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정감록이라 할 때에는 감결(鑑訣)하나만을 말하기도 하고 감결 이외의 동국역대음양결(東國歷代陰陽訣) 역대왕도본궁수(歷代王都本宮數) 삼한산림비기(三韓山林秘記) 등 십여종의 비기들을 묶어서 말하기도 한다. 정감록의 저자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데 도선국사, 혹은 무학대사 정도전이라는 설들이 있으나 확실한 것은 아니다.
참고 자료
재미있는 고전여행, 김창현 편저, 김영사, 1993
정감록비결, 편집부, 범우사, 1997
하이디 학생 대백과 사전, 교육문화사, 1993
한국사(중세사회의 해체2), 강만길 외, 한길사,1994
정감록과 풍수-신행정수도 擇地와 관련하여- 김두규(우석대: 풍수지리학/독문학)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