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경영_국내 공연 마케팅 사례 조사
- 최초 등록일
- 2023.02.04
- 최종 저작일
- 2022.10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이론적 배경
2) 공연의 개요
3) 주요 고객
4) 마케팅 방법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코로나 19로 비대면 사회가 되었고, 공연 예술계는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러나 위기를 기회로 삼을 수 있는 방법이 있었고, 그것은 바로 ‘언택트 마케팅’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방역 지침에 따라서 비대면 상황이 지속이 되어 위기를 경험 하였지만, 오히려 이는 국내에 갇혀 있던 공연예술계에 언택트 마케팅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020년 1월 초부터 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가 되고, 개인 간의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이 전국적으로 진행이 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자연스럽게 거리두기 캠페인이 전국적으로 진행이 되었다. 또한 자연스럽게 사회적 활동을 축소하고, 외부 활동을 자제하게 만들었다. 자신도 감염이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은 집안에서 생활을 하는 시간을 증가시켰다. 이러다 보니 집에서 음식, 문화, 여가를 즐기는 ‘흡족(home族)’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들의 소비를 겨냥을 한 경제용어를 를 ‘홈(home)’ 과 ‘이코노미(economy)’의 합성어인 ‘홈 코노미’라 부른다. 홈 코노미는 홈영(집에서 영화보기), 홈 쿡 (집에서 요리함), 홈 술(집에서 술을 마심), 홈 캉스, 홈 필라테스 등 집안에서 다양한 경제활동이 이뤄지는 다양한 문화가 등장하게 만들었다. 집은 주거공간이라는 한정적인 인식에서 벗어나서 취미, 레저, 여가생활까지 즐기는 공간으로 확대가 되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메타버스”라는 개념이 나오고 있다. 메타버스의 바람은 문화와 예술계에서도 불고 있다. 메타버스는 가상을 뜻하는 메타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를 합친 신조어이다. 우리가 사용을 하는 디지털 공간 모두 메타버스라고 볼 수 있다. 인터넷 웹사이트 등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메타버스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며,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펜데믹의 장기화로 물리적인 제약을 받는 문화.예술계가 메타버스에 주목을 하고 있는 이유다.
참고 자료
안재영, 이중정, 배다은, 이소현.(2020).언택트 서비스 사용에 관한 연구: 키오스크 사례 중심으로.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20(4),49-73.
이현, 차강희. (2021). 언택트 제품에 맞춤화된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 언택트 제품군 -명확한 구분, 분류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포럼, 72(0), 207-220.
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특징 강소제조인 https://m.blog.naver.com/sigmagil/221532184810
정광섭. (2021). 메타버스 내 음악 콘텐츠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Doctoral dissertation, 한양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