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제도의 변천(변화)과정
- 최초 등록일
- 2023.02.01
- 최종 저작일
- 2023.0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목차
(1) 금본위제도
(2) 금환본위제도
(3) 브레튼우즈체제하의 국제통화제도
(4) 스미소니언체제하의 국제통화제도
(5) 킹스턴체제하의 국제통화제도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금본위제도(gold standard system)란 금과의 교환비율을 나타내는 자국통화의금 평가를 설정 ․ 유지하고 금의 뒷받침하에서 통화를 발행하는 제도이다. 금본위제도에서는 통화단위의 가치가 일정량의 금으로 정의되는데, 통화당국이 그 가격에서의 금과 통화의 매매에 무제한으로 응하며 또한 대외적으로는 금의 수출입이 자유롭다.
이러한 금본위제도는 통화와 금의 결속 정도에 의하여 금만이 통화로서 유통하는 제도인 금화본위제, 국내에서 중심적 화폐는 은행권이며 정부가 대외적 결제수단으로서 금을 보유하는 제도인 금지금본위제 및 통화당국이 금화본위제와 금지금본위제 제도를 채택하는 나라의 통화와의 교환율 약속하는 지폐를 발행하는 제도인 금환본위제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영국은 1821년 이후 금본위제도를 공식적으로 채용하였으며, 유럽의 여타 주요국은 1870년대에 사실상 금본위제도로 이행하였다. 미국은 1879년에 금본위제도로 복귀하였다. 일본은 청일전쟁에서 얻은 배상을 준비금으로 하여 1897년에 금본위제를 확립하였다. 금본위제도는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1914년까지 유지되었다.
금본위제도는 사람들이 고안해서 만들어 낸 것이 아니라 흡사 가격기구처럼 자연발생적으로 생긴 것이다. 즉,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금이 화폐로 사용되었으므로 국제통화제도로 금본위제도에 기초하게 되었다. 이때 각국의 화패단위는 일정한 분량의 금을 함유하고 있었으므로 이에 따라서 국가들 사이의 환율도 고정되었다. 예를 들어, 금본위제도하의 어떤 국민경제가 국제수지 적자를 보이고 있다고 하자. 그러면 금의 해외유출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국내의 통화량을 감소시켜 물가수준의 하락을 가져온다. 물가가 하락하면 이 나라 수출품의 가격이 낮아지므로 수출은 증가하는 반면에 수입품의 가격은 비싸져서 수입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국제수지는 다시 균형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흑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