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평생교육의 필요성과 우리나라 여성 평생교육 내용 및 현황을 설명하고 여성 평생교육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3.01.12
- 최종 저작일
- 2023.0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목차
1) 여성능력개발의 현황
2) 우리나라 여성평생교육의 역사
3) 여성평생교육
(1) 여성평생교육의 정책 현황 및 성과
(2)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평생교육정책의 문제점
본문내용
1) 여성능력개발의 현황
여성평생교육에는 여성의 일과 여가, 사회참여를 위한 다양한 영역이 있으나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는 사업 중 대표적인 것은 직업능력개발 사업이다. 고용노동부는 재직여성과 실업여성, 여성부는 비경제활동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교육과학기술부도 고학력 여성을 대상으로 지역 여성인재 육성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50.9%, 남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74.25%로 남성과 여성의 격차가 23.3%에 달하고, OECD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평균수준인 60.8%에 비해 약 10%낮다.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 참가율은 25-29세 69.4%, 30-34세 56.1%, 35-39세 60.2%, 40-44세 66.2%, 45-49세 66.5%로 30대 여성인력의 노동시장 퇴장이 심각하다(교육과학기술부, 평생 교육진흥원 ,2010).
노동연구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은 여성19.5%, 남성 23.8%로 선진국에 비하여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곽삼근 외, 2007). 이처럼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이 낮은 것도 문제지만, 국가 인적 자원의 중요한 축을 차지하는 여성평생교육에 대한 부실한 정책은 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참고 자료
여성학 : 행복한 시작 - 부산여성사회교육원 저, 신정, 2014
새 여성학 강의 - 한국여성연구소 저, 동녁, 2005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법여성학 판례연구 - 이병화 저, 에듀컨텐츠, 2013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여성과 여성 시민의 권리 선언 - 올랭프 드 구주 저, 박재연 역, 꿈꾼문고, 2019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 김동배 저, 학지사, 2005
여성과 일 - 강이수, 신경아 외 1명 저, 동녘,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