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 환경호르몬 예방 및 관리 방안에 대해 쓰세요.
- 최초 등록일
- 2022.12.22
- 최종 저작일
- 2022.03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생활 속 환경호르몬 예방 및 관리 방안에 대해 쓰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960년대 미국에서 카슨이 저술한 `Silent Spring`이란 서적이 발간되면서 독성물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독성 화학물질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이 본격적으로 수립·실시되었다. 환경호르몬으로 추정되는 물질은 각종 산업용 물질, 살충제, 농약, 유기중금속류, 다이옥신류,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합성에스트로겐류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세계야생동물보호기금 목록에서 67종, 일본 후생성에서 143종, 미국에서 73종의 화학물질을 환경호르몬으로 규정하고 있다. 다이옥신은 소각장에서 피복전선이나 페인트 성분이 들어 있는 화합물을 태울 때 발생하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이다. 컵라면의 용기로 쓰이는 스티로폼의 주성분인 스티렌이성체 등이 환경호르몬으로 의심받고 있다.
환경호르몬은 극히 적은 양으로 생태계 및 인간의 생식기능 저하·성장장애·기형·암 등을 유발하는 중대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참고 자료
김종호ㆍ서곤ㆍ이부귀 / 환경호르몬과 다이옥신 : 화제의 화학물질을 바르게 이해한다, 화학동인,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5
환경호르몬의 공포” 나카하라 히데오미, 후타키 쇼헤이 (2008)
이카타 요시토, 이동수 역 / 감수환경 호르몬 : 환경 호르몬에 대하여 알고 싶은 사람들을 위하여, 서울 : 아카데미서적, 2009
김강열, 알기 쉬운 환경호르몬, 시민생활, 2010
최덕일, 환경호르몬의 사용규제, 법제화 과제, 2008
D. 린드세이 벅슨 저, 김소정 역(2007)「환경호르몬의 반격」아롬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