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사] 현대공예사의 이해
- 최초 등록일
- 2004.01.30
- 최종 저작일
- 2004.0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I 공예의 근대화 과정(19세기 말에서 일제 강점기)
머리말
1. 공예의 근대적 개념
2. 근대의 시대인식과 공예관의 변모
3. <이왕직미술품제작고>와 전통 복원의지
4. [선전]공예부와 미술공예
맺음말
II 현대공예의 전개 (해벙공간에서 90년대)
머리말
1. 해방공간의 공예(1945-1953)
2. 전후의 공예재건과 개인전 활동( 1954-1959)
3. 디자인과 결별, 새 진로의 선택(1960년대)
4. 전통과 현대공예의 영역분점(1970년대)
5. 더욱 심화된 조형과 기능의 이원구조 (1980년대 이후)
III 전망을 생각하며.
본문내용
I 공예 근대화의 과정(19세기 말에서 일제 강점기)
머리말
한국 근대 공예의 흐름: 제작활동의 목표가 실용에서 미술공예로 바뀌어간 과정. 공예활동의 존립을 좌우하는 제작구조와 수요기반이 전반적으로 해제되고 새로운 틀로 재편되는 근대적 상황에 주목해야함. 근대기에 형성된 공예계의 이원구조는 식민지 시기의 왜곡된 공예관과 함께 공예의 근대적 실상을 이해하는데 필수. 따라서 이무렵 사회, 경제적 토대를 지양하고 미술 문화적 토대로 제작기반을 전환한 이유와 동기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근대기 정국의 주도 이념이 공예활동에 어떤 구실을 수행하고 그 한계는 무엇이며, 나아가 이들 공예환경의 변화요인이 공예양식에 어떻게 표출되는지에 알아보자.
먼저 '공예' 용어의 수용과 의미의 변화과정을 검토해본 후, 근대 공예의 흐름을 계도했던 근대기의 주도 이념을 분석하여 이 이념의 전개가 공예구조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파악해봄. 공예계의 이원구조에 관해서는 그 기본틀의 형성을 주도했던 <미술품제작소>와 [선전]공예부에 주목하여, 설립과 운영의 전과정, 그리고 그 한계를 함께 이해해보자.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