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웹 보안] 리눅스 커널 취약점 분석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리눅스 커널 취약점 분석
1. 웹 보안의 의의
Ⅱ. 제안하는 웹 보안 기법: GET & POST 요청 기반 파라미터 프로파일링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리눅스 커널 취약점 분석
1. 웹 보안의 의의
참고 자료
최향창, 최은복, 노봉남. (2002). 쿠키 보호 시스템 설계.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9(1A), 904-906.
심원태, 김종명, 류재철, 노봉남. (2011). 안드로이드 앱 악성행위 탐지를 위한 분석 기법 연구.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1(1), 213-219.
박남열, 김용민, 노봉남. (2006). 우회기법을 이용하는 악성코드 행위기반 탐지 방법. 정보보호학회논문지, 16(3), 17-28.
박채금, 노봉남, 김정일. (2005). GET과 POST정보를 이용한 웹 어플리케이션 보안 시스템 설계.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32(2), 142-144.
이영석, 서정석, 조상현. (2005). 웹 어플리케이션 보안 기술 동향. 정보보호학회지, 15(1), 83-89.
장승주, 임동훈. (2002). 웹 환경에서 안전한 데이타 전송을 보장하는 프로토콜 기반의 보안 모듈에 근거한 보안 시스템.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29(6), 635-644.
황순일 저, "웹 해킹 패턴과 대응" 2005.4
박정수, 강신각, 박성열. (1997). [기술해설]월드 와이드 웹 보안 기술 및 동향. 정보과학회지, 15(4), 37-44.
손진곤, 원종선, 박지수. (2015).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세션 상태 기반의 쿠키 재전송 공격 방어 기법.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4(1), 31-36.
둥둥이 네이버 블로그, (2020),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정보 시스템의 중요성, https://blog.naver.com/smhcjgud/222147472101
코딩공부일지 티스토리 블로그, (2021), [Network] GET방식과 POST방식의 차이,https://cocoon1787.tistory.com/526
hristopher Krugel. "Anomaly Detection of Web-based Attacks". In Proceeding of CCS'.PP251-261, 2003
Anitha Nalluri and Dulal C.Kar. "A Web-Based System For Intrusion Detection". CCSC. pp274-280. 2005
양환석, 유승재. (2014). 웹 어플리케이션 보안을 위한 가상화 기반 보안 모델. 융합보안논문지 , 14(4), 27-32.
The 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OWASP) Top Ten Most Critical Web Application Security Vulnerabilities. http://www.owasp.org.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