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아동간호학실습]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케이스자료!!
- 최초 등록일
- 2022.11.09
- 최종 저작일
- 2018.04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자료[아동간호학실습]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케이스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I.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
II. 급성 비인두염(Acute nasopharyngitis)
2. 간호사정
I. 일반적 배경
II. 건강력
III. 신체사정 및 건강사정
Ⅳ. 예방접종
Ⅴ. 투약
Ⅵ. 진단검사
Ⅶ. 간호사정 요약
3. 간호진단
4. 출처
본문내용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
① 원인
감염성 위장염의 80% 이상에서 원인균이 확인된다.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이 음식이나 대변, 입, 사람과의 접촉으로 전염되며, 감기나 기관지염 등으로 증상이 발현하기도 한다. 5세 이하 아동의 경우 대부분은 Rota virus로 인해 발병하며, 학령기 아동은 놀워크형 바이러스가 설사를 유발한다.
② 진단
어떠한 집단에서 동시에 급성으로 설사가 일어나면 전염성 혹은 독소에 연유한 것이며, 특정 음식이나 물을 먹은 후 급성 설사가 발생했다면 먹은 시간과 증상이 나타난 시간과의 간격을 살펴보아야 한다. 14시간 이내면 식중독의 가능성이 높으며, 14시간 이상이면 세균으로 인한 설사의 가능성이 높다. 대변검사로 pH, 혈액, 세균침입 유무 등을 조사하며, CBC로 염증 수치를 감별한다.
③ 치료
구역, 구토가 심한 경우, 심한 탈수, 쇼크, 대사선 산증이 있는 경우 IV로 수액을 공급한다. 원인균이 발견되면 그에 맞는 항생제요법을 시행한다. 설사를 멎게 하는 지사제를 투여하며 증상이 심할 경우 금식하고, 증상이 완화되면 미음으로 시작하여 죽, 밥으로 식이를 한다.
④ 예후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않을 시 만성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급성 비인두염(Acute nasopharyngitis)
① 원인
비인두염은 대부분이 세균, 바이러스 또는 드물게 곰팡이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한다. 또한 과도한 흡연, 음주, 과로와 탈수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 자극성 물질이나 증기의 흡입, 인접 부위의 염증 파급 등으로 인해 유발된다.
② 진단
비인두염의 증상과 더불어 인두 뒤쪽 벽의 충혈과 부종, 발열 등의 이학적 검진을 토대로 진단한다.
③ 치료
대개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경우가 많고,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등이 치료에 도움이 되며 필요할 경우 구강 내 가글액이나 진통제를 투여한다.
참고 자료
아동간호학 Ⅰ (신광출판사)
아동간호학 Ⅱ (신광출판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