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U 성인간호 중환자실실습 변이형협심증 Variant Angina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22.10.30
- 최종 저작일
- 2022.09
- 2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CCU 성인간호 중환자실실습 변이형협심증 Variant Angina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동맥경화증, 혈전증, 혈관의 수축 및 연축 등의 원인에 의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급성이나 만성으로 협착이 일어나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 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를 협심증이라고 한다.
협심증의 유형으로는 ‘안정형 협심증’, ‘불안정형 협심증’, ‘변이형(이형성) 협심증’이 있다.
동맥경화증 때문에 만성적으로 협착이 되어서 생기는 협심증을 안정형 협심증이라고 하고,
죽상경화병변이 파열되어 혈전이 생겨서 급작스럽게 협착이 심해져서 생기는 협심증을 불안정형 협심증이라고 한다. 또한 죽상경화병변이 별로 없음에도 불구하고 혈관의 연축에 의해 혈류 장애가 발생하여 초래되는 협심증을 변이형(이형성) 협심증이라고 한다.
2) 원인&병태생리
심장은 크게 3개의 관상동맥을 통해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고 일생 동안 혈액을 전신으로 펌프질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따라서 관상동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에는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관상동맥의 가장 안쪽 층은 내피세포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 내피세포가 건강한 경우에는 동맥경화증이나 혈전 등으로 인한 협착 및 폐색이 잘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내피세포가 손상되고 기능이 떨어지면 관상동맥 안을 흘러가던 혈액 속에 포함된 혈소판 및 대식세포가 활성화되면서 만성적으로 동맥경화증이 진행되고, 이에 더하여 동맥경 화반이 파열되면 급성으로 혈전증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협착에 의해 관상동맥의 70% 이상이 막히게 되면 심근의 일부가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되고 관상동맥의 혈류가 원활하지 않아 흉통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협심증이 생긴다.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2021.12.3.)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275/허혈성심질환
성미혜 ,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 JMK , 2019
황옥남 , [성인간호학] . 현문사 , 2019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간호과정 실무지침]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20
양선희 , [기본간호학] , 현문사 ,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