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A+ 자료) 문화와 예술 명작 세미나 - <빌리 엘리어트> 무비컬의 성공요인과 영화의 뮤지컬화에 관한 고찰
- 최초 등록일
- 2022.10.06
- 최종 저작일
- 2019.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에세이] (A+ 자료) 문화와 예술 명작 세미나 - <빌리 엘리어트> 무비컬의 성공요인과 영화의 뮤지컬화에 관한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무비컬의 정의 및 예시
2. 뮤지컬 <빌리 엘리어트>의 성공 요인
3. 무비컬의 한계점 및 문제점이 드러났던 사례 분석
4. 영화의 뮤지컬화 성공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1세기에 들어선 이후로 한국의 영화 산업은 더욱 커지고, 뮤지컬의 제작편수도 증가해왔다. 처음엔 영화와 뮤지컬은 각기 다른 느낌의 시청 대상이었으나, 현재는 여러 컨텐츠들을 뮤지컬화하고 있다. 특히 가장 잘 알려진 컨텐츠인 영화를 원작으로 하는 창작뮤지컬이 늘어나면서, ‘무비컬’이라는 단어까지 생겨났다. 최근에는 뮤지컬 “캣츠”를 원작으로 하는 영화가 개봉하는 등, 역으로 뮤지컬을 원작으로 한 영화도 나오고 있다. 이렇게 예술 작품, 장르 간 경계가 옅어지는 듯 보이는데, 그렇다고 무조건 무비컬이 성공을 보장하지는 않아 보인다. 영화 <빌리 엘리어트>를 원작으로 한 뮤지컬 <빌리 엘리어트>는 성황리에 현재까지도 순회공연을 하고 있는 무비컬이 있는가 하면, 영화 원작을 못 살렸다고 비판받으며 빠르게 막을 내린 무비컬들도 있다.
영화 <빌리 엘리어트>를 수업에서 접하기 이전에, tv프로그램 <영재발굴단>에서 한국판 뮤지컬 빌리 엘리어트 공연을 위해 여러 아이들이 연습하는 장면들을 본 적이 있었다. 필자는 이런 연습 과정을 보고 아이들의 순수함이 느껴지는 노래와 춤을 보며 뮤지컬에 너무나 잘 어울리는 원작 영화를 골랐다고 생각했다. 뮤지컬을 먼저 조금 접하고 영화를 봤음에도, 둘의 이질감이 크지 않고 뮤지컬에서 오히려 주인공 빌리의 감정이 생생하게 느껴졌을 정도로 만족스러운 공연이었다.
그렇다면 영화를 뮤지컬화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과,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특징들에는 무엇이 있을지 최대한 객관적으로 정리해보면 훗날 더 관객들을 감동시키는 좋은 무비컬이 탄생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필자는 무비컬의 성공요인과 함께 무비컬의 한계나 문제점도 분석해보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최종적으로 영화의 뮤지컬화, 즉 무비컬의 성공을 위해 고려할 사항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런 사항들을 잘 알면 좀 더 능동적으로 문화생활을 하는 관객이 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이런 생각들에서 착안해 본 에세이를 작성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김선진, 「창작 뮤지컬의 발전 방안 연구-‘무비컬(Movical)의 성공요인 분석을 통해’, 상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김미연, 무비컬(Movical)의 특성이 관객만족도와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대구일보, 이상철, ‘무비컬’ 의 성장 동력을 바라보며, 2019.6.17
배경희, [Lyric's Backstage] <빌리 엘리어트> ‘Solidarity’ [NO. 170], 월간 더뮤지컬 제162호, 2017년 11월호 게제기사
[네이버 지식백과] 무비컬 (뮤지컬, 2013. 2. 25., 원종원)
유경은, 뮤지컬 속에서 나타나는 무용의 역할에 관한 연구:<빌리 엘리어트>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이곤, 새로울 것 없는 주크박스- 무비컬 <9 to 5>, 2009, 더뮤지컬, 뮤지컬&컬처 [NOW IN THE NEWYORK] NO.70
임지현, 한국 무비컬의 소재연구를 통한 성공요인 분석, 2015, 글로벌문화컨텐츠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