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실습 급성편도염 케이스 자료/간호과정(고체온,통증)
- 최초 등록일
- 2022.09.20
- 최종 저작일
- 2018.06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아동간호 실습 때 가장 많이 봤던 급성편도염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염증 질병으로 고체온과 통증에 초점 맞춰 간호과정 두개 작성했습니다.
간호 목표를 단기와 장기로 나누어 세세하게 작성해서 도움이 많이 될겁니다!!
목차
1. 간호사정
2. 문헌고찰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진단명
재발성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 상세불명의 급성 편도염
2. 정의
급성 편도염은 일반적으로 구개편도의 급성염증을 말하며, 대부분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한다.
3. 원인 및 병태생리
가장 흔한 원인균은 β 용혈성 연쇄상 구균이며, 이외에도 원인균으로 포도상 구균, 폐렴구균, hemophilus등이 있고, 혐기성 균주와 바이러스도 원인균이 될 수 있다.
공기나 음식에 의하여 전염되며 소아에 가장 흔하지만 어느 연령에서나 일어날 수 있다.
4. 임상증상 및 증후
증상은 호흡곤란, 연하곤란, 인두건조, 무기력, 발열, 식욕부진, 오한, 근육통, 두통, 인후통, 경부 림프선의 부종이다. 아동이 계속 입으로 숨을 쉬면 입 점막이 마르고 자극을 받을 수 있다.
합병증이 없는 한 불편감은 24~72시간 동안 지속되었다가 차츰 가라앉아 7~10일 후 회복된다.
5. 진단적 검사
- 시진 : 눈으로 관찰했을 때 편도가 커지고 염증이 생긴 상태(붉어진 정도, 삼출물의 유무를 살핌)
- 목구멍면봉채취법을 배양검사로 진단.
*설압자로 혀를 부드럽게 누르고 무균 면봉으로 목구멍과 양쪽 편도를 문지른다.
6. 치료 및 간호
치료로 휴식, 더운 생리식염수의 함수(garglimg), 인후세척, 적절한 수분섭취를 시행하며 심한 경우는 7~10일간 항생제를 투여한다.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얼음주머니와 아스피린, 코데인 등을 사용한다.
전반적인 지지요법을 실시하며, 약물이 처방되었다면 약물을 끝까지 투여하도록 권장한다.
감염이 반복되고 호흡 관련 수면장애가 나타나면 수술을 하도록 권장한다. 급성 편도염은 심하지 않으면 5~7일 후 자연적으로 회복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례에서는 상태를 관찰하며 기다리는 것이 좋다.
- 수술을 실시하는 경우 : 간호사는 부모가 아동을 준비시키도록 돕는다. 최소한 수술 1주 전부터 아동은 인후통, 열, 상기도감염이 없어야 한다.
참고 자료
이강원(2003), “중증 급성 편도염의 유발요인과 원인균주의 변화”, 중앙대학교
아동간호학Ⅱ, 수문사(2016), 김영혜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2016), 김금순 외
국가정보포털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