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실습 자살로 인한 우울증 케이스(영화 디아워스)
- 최초 등록일
- 2022.09.12
- 최종 저작일
- 2021.06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자살로 인한 우울증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치료
Ⅱ. 사례보고서 (영화/표준화환자사례 등 참고)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1) 자살
사용한 방법에 상관 없이 자신을 살해하는 의도적인 행동이다. 자살시도의 과거력은 미래의 자살완수와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24개월 동안 자살시도 여부를 추적 관찰해야 한다. 자살행동은 흔히 정신장애와 관련되어 있고, 특히 주요우울증과 자살행동은 유사한 병리적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즉각적인 치료계획을 요한다.
2) 우울증
우울장애는 DSM-5에서 주요우울장애, 파괴적 기분조절장애, 지속성 우울장애, 월경전불쾌감장애,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우울장애,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우울상태로 분류한다.
주요우울장애는 가장 흔한 정신장애 중 하나이다. 주요우울장애 또는 주요우울증은 우울한 기분이 최소 2주 동안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우울증이란 슬프거나 우울한 기분의 정도가 지나치게 심한 상태로 오랫동안 지속되어 개개인의 삶에 커다란 지장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하며 우울증은 꽤 흔한 병이다. 평생 동안 여자는10~25%, 남자는5~12%가 적어도 한번은 우울증에 걸린다.
2. 원인
1) 자살
(1) 생물학적 요인
자살은 가족력이 흔히 발견된다. 쌍생아의 자살률은 이란성보다 일란성에서 더 높이 나타난다. 낮은 세로토닌 수치는 우울한 기분과 관련이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살 대상자의 뇌척수액 내의 세로토닌 또는 세로토닌 대사산물의 농도가 낮았다. 자살대상자의 사후 검사결과 뇌간이나 전두엽 피질에 세로토닌 농도가 낮았다.
(2) 정신사회적 요인
Freud의 이론에 자살 적개심의 세 가지 분류인 ‘죽이고 싶은 욕구’, ‘죽임을 당하고 싶은 욕구’, ‘죽고 싶은 욕구’를 추가하였다. Aaron Beck은 자살의도 기저에 깔린 감정으로 절망감을 제시하였다. 자살위험도가 높은 인지유형은 엄격한 이분법적 사고, 다른 선책을 보지 못하는 무능력함, 완벽주의이다. 모방자살은 공인, 연예인 또는 지역사회 동료의 자살이 대중에 알려졌을 때 발생한다.
참고 자료
정신건강간호학/현문사(2020)/김수진 외 15명/p305~335, p420-433, p595~614
[영화] 디 아워스
[Vsim] mental-Li Na Chen(depressive disorders)
[Drugs.com]
[WebMD]
[네이버 블로그] 한글판 해밀턴 우울평가 척도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