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Pectoris)에 대한 Case Study (A+보장, 병인론, 간호력, 약물, 특수치료,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 최초 등록일
- 2022.09.10
- 최종 저작일
- 2021.11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소개글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Pectoris)에 대한 Case Study (A+보장, 병인론, 간호력, 약물, 특수치료,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력(Nursing History)
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3. 투약 (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4. 특수치료(Special Treatment)
5. 간호과정(Nursing Process)
6. 참고문헌(Reference)
본문내용
- 정의
협심증이란 관상동맥 질환에 의한 흉부의 통증이나 불편감을 일컫는 의학적 용어이며 심장 근육의 허혈에 의해 발생하는 증상이다. 심장 근육의 허혈이란 심장의 근육이 필요로 하는 만큼의 혈액과 산소 공급을 받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심장은 크게 3개의 관상동맥; coronary artery (LAD ; 좌전하행동맥, LCx ; 좌회선동맥, RCA ; 우측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동맥경화증, 혈전증, 혈관의 수축 및 연축(spasm) 등의 원인에 의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급성이나 만성으로 협착(수축 등의 원인에 의해 혈관 등의 통로의 지름이 감소하는 것)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협심증이라고 한다.
- 원인
관상동맥 내에 플라크(plaque)가 축적되어 혈관 내막과 중막을 침범하게 되면 혈관 이완과 수축에 영양을 주게 된다. 관상동맥은 70% 이하 폐색 시까지는 심근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게 되지만 빈혈, 흡연, 저혈량 등이 심근으로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여러 가지 위험요소들은 플라크의 형성을 촉진하여 산소 공급을 감소시키고 심근의 산소요구량을 증가시킨다. 동맥경화증에 의해 혈관이 좁아지고, 좁아진 혈관 내에 혈전 (핏덩어리)가 생기며, 혈관 내부의 벽을 보호하고 있느 얇은 막인 혈관내피세포가 손상되거나 기능이 떨어져서 혈관이 수축할 때 심장 통증이 생기게 된다.
- 협심증의 종류
1)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Pectoris) : 동맥경화증 때문에 만성적으로 협착이 되어서 생기며, 안정 시에는 전혀 통증이 없고 활동 시에만 증상이 나타나는 협심증으로 가장 흔한 종류의 협심증이다.
2) 불안정한 협심증(Unstable Angina Pectoris) : 죽상경화병변이 파열되어 혈전이 생겨서 급작스럽게 협착이 심해져서 생기며, 안정 상태에 있던 환자가 흉통의 빈도나 정도가 심해지거나 평소보다 적은 활동량에도 흉통이 나타난다.
참고 자료
김진원 외 (2008), 「협심증 환자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제 75권 제 5호
최은진 외 (2012), 「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c-반응성 단백질(CRP) 농도의 증가」. 대한내과학회지, 제 82권 제 1호
김금순 외 (2016), 「성인간호학Ⅰ – 여덟째판 수정판」. 수문사
김금순 외 (2019), 「성인간호학 Ⅱ – 아홉번째판수정판」.수문사
성미혜 외 (2020),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양선희 외 (2018),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양선희 외 (2018), 「기본간호학Ⅱ 」.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드럭인포 약물검색 http://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