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 최초 등록일
- 2022.08.21
- 최종 저작일
- 2022.08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소개글
"중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도시개요
2. 도시계획
3. 산업경제현황
4. 호구제도
5. 인구관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국과학기술발전연구원에서 개발한 '국가혁신지수'는 국가의 종합 혁신역량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인데, 2020년 중국의 국가혁신지수는 세계 14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보다 2.6점이 상승해 72.5점을 기록한 것으로 10~13위 국가인 영국과 핀란드, 프랑스, 아일랜드와의 격차가 0.2~1.8점으로 축소된 수치이다. 중국은 최근에 혁신자원의 투입을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지식창조능력의 강화로 기업의 혁신역량도 더욱 향상되고 있어 전반적인 혁신환경이 현저하게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세계 혁신역량은 세계 40개 국가를 대상으로 분석하는데 TOP 15위에 해당하는 제1그룹의 국가는 한국과 일본을 제외하면 주로 구미 선진국에서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은 기업의 혁신력과 지식창조능력에 힘입어서 제3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지난해 중국은 각 연해지역에서 지역별로 '14·5' 계획을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해양관련 주된 발전방향과 중점적인 임무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하이난(海南)성과 저장(浙江)성, 톈진(天津)시는 해양경제발전 '14·5' 계획 발표와 함께 향후 5년 동안의 해양경제 발전목표와 중대 사업 및 정책조치들을 제시하기도 했다. 톈진시의 징진지 협동발전 전략과 저장성의 장강삼각주 일체화 발전전략, 그리고 하이난성의 자유무역항 건설 등의 중대한 국가전략 이행을 계기로 세 개의 도시는 해양경제 발전에 많은 활력을 주고 있다. 또한 중국의 국내 연해지역들도 해양강국을 건설하기 위한 전략의 중대한 발전계기를 잡기 위해서 해양 전략의 플랫폼과 자원구도의 배치를 촉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가운데 하이난성은 2035년 비전 실현을 목표로 한 해양경제의 발전기반과 향후 발전추세를 고려해서 2025년까지 해양경제 규모를 대폭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해양과학기술의 혁신역량을 크게 강화하고, 해양산업체계의 현대화를 기본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참고 자료
김지현(2010). 중국 호구일원화 정책에 관한 연구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묵야(2022). 중국 해남성의 문화관광산업 발전방안 연구 –산야시의 국제소비도시 건설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진희(2008). 중국 하이난섬의 관광단지개발에 관한 연구. 산경논집 제23집, pp. 143~169
임근욱·양승탁·이혁진(2011). 중국 하이난의 관광자원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no.4, 통권 38호 pp.1~11
정기은(2011). 중국 섬관광자원 개발에 따른 제주관광 발전방향. 제주발전연구 제15호. pp. 1~30
치플린(2004). 하이난 경제특구개발, 섬관광진흥과 혁신적 파트너쉽 구축, 중국 하이난성. 광문당.
邢艾琳(2016). 중국의 도시화정책 연구 –호구제도와 토지제도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曹景椿. "关于蓝印户口"问题的思考".『人口与经济』.总第.(129期.2001) pp.16~17
Fei-Ling Wang.Organizing Through Division and Exclusion:China'sHukou System. pp.22~26
KMI 중국리포트, KMI CHINA Research Center, 제21-14호, 2021.7.30.
LI JIANING(2019). 중국 호구제도와 베이징 농민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