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시즘의 출현,파시즘의 이론,계몽주의,휴머니즘,세속주의,진보주의
- 최초 등록일
- 2022.08.16
- 최종 저작일
- 2022.08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000원

목차
Ⅰ. 파시즘의 출현
1. 들어가는 말
2. 파시즘의 이론적 배경들
Ⅱ. 파시즘의 양태
1. 이탈리아 파시즘
2. 독일의 파시즘 : 나치즘
3. 다른 지역의 파시즘
4. 오늘날의 파시즘
Ⅲ. 결론
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세계대전의 시대, 핵무기의 시대라고 회고되는 20세기의 격동의 역사는 전체주의(totalitarianism)라는 이데올로기적 설명이 없이 이해될 수 없다. 왜냐하면 사회가 어떻게 조직되어야 하는가,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이데올로기적인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전체주의는 정부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그리고 경제 제도 전체, 즉 사회를 완전히 통제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전체주의(totalitarianism)라는 용어는 무솔리니와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이 자신들의 혁명적인 목표들을 규정하고, 그들이 경멸하는 민주주의와(자유주의 및 사회주의) 자신들의 이데올로기를 구별하기 위해 만들었다. 때문에 파시즘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반동의 대상인 민주주의와의 차이와 반동적 성격을 띠면서도 다른 반동주의자들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한 명확한 구별이 필요하겠다.
먼저 반동적인(reactionary) 이데올로기라는 평가를 받는 파시즘의 반동의 대상이 되는 민주주의는 인간의 이성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한 일정 수준의 평등에 대한 관점에 있어서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를 만든다. 파시스트들은 대중의 지지를 호소했으나 자신들의 지도자들을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것 이상을 원하지 않았고, 이는 ‘믿으라, 복종하라, 투쟁하라(credere, obbedire, combattere)’ 라는 무솔리니가 내세운 슬로건에서 간단명료하게 표현되고 있다.
하지만 파시스트들을 단순히 기존의 반동주의자나 극단적인 보수주의자의 개념범주 안에 놓을 수도 없다. 그들이 자유주의나 사회주의를 부정했다고 해서 그 이전의 교회, 왕, 귀족과 같은 귀속적 지위(인정하지 않았음)가 존재했던 시대로 돌아가고자 한 것이 아니며, 변화에 대한 열정을 가졌던 점에서 급속적인 변화를 용납하지 못했던 보수주의와 다르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