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검색사이트 탐색 및 특징평가
- 최초 등록일
- 2022.07.18
- 최종 저작일
- 2022.07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정보검색론
주제 : 주요 검색 사이트 탐색 및 특징평가
목차
1. 서론
2. 본론
1) 다음 검색엔진의 특징
2) 네이버 검색과의 비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2021년 11월 기준 국내 검색엔진의 점유율은 네이버 60.18%, 구글 29.15%, 다음 5.73%이다(인터넷트렌드, 2021). 과거 인터넷 검색엔진의 양대 산맥을 이뤘던 네이버와 다음의 양자 구도도 이제는 글로벌 다국적 기업인 구글에 무너져 다음의 시장 점유율은 처참한 수준이다.
인터넷이 보급되던 2000년대 초반 다음은 무료 이메일 서비스 ‘한메일’을 필두로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고히 하며 성장했다. 시장을 선점한 다음은 무료 이메일에 이어 뉴스, 카페 등의 서비스를 확대하였고 시장의 후발주자인 네이버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하지만 기업회원을 대상으로 시행한 ‘온라인 우표제’는 소비자들에게 한메일이 유료화된다는 공포를 불어넣었고 이를 틈 타 네이버는 ‘지식in’ 서비스를 대대적으로 광고하며 시장에서 다음의 입지를 넘어서기 시작했다. 그다음부터 다음의 몰락은 순차적으로 이뤄졌다. 빠져나간 회원들은 좀처럼 다음으로 돌아오지 않았고 그 자리를 네이버가 대체했다.
참고 자료
오영주. “정보탐색 '네이버' 압도적 1위, '유튜브' 이용량 대폭 증가”. 코스인. 20.03.06 작성. 21.11.24 접속.
https://www.cosinkorea.com/mobile/article.html?no=34894
조미현. “구글·다음서 '장모' 사진 검색하면 '윤석열 장모'…네이버는?”. 한국경제. 21.07.05 작성. 21.11.24 접속.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07056219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