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간호학) 급성심근경색, AMI, 간호진단 9개, 간호과정, 케이스
- 최초 등록일
- 2022.07.01
- 최종 저작일
- 2022.06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급성심근경색(AMI) 간호케이스입니다.
중환자실 실습 때 했던 자료라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습니다.
문헌고찰, 간호사정, 약물, 간호진단(9), 간호과정(1)
A+ 받은 자료입니다. 믿고 구매하셔도 좋습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및 검사
(5) 치료
2. 간호사정
(1)일반혈액검사
(2)일반화학검사
(3)혈액응고검사
(4)소변검사
(5)기타검사
3. 약물투여 기록(중환자실 실습)
4. 간호진단/문제목록
5. 간호과정 기록표(중환자실 실습)1
본문내용
(2) 원인
•동맥경화반 파열과 혈전 형성
급성 심근경색증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동맥경화증이며, 가장 흔한 발생 원리는 관상동맥의 동맥경화반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면서 심근의 괴사가 일어나는 것이다.
관상동맥을 폐쇄시키는 유발 위험 인자로는 고령자, 흡연자, 고혈압(혈압이 140/90mmHg 이상이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는 경우), 당뇨 등의 만성질환자, 가족력(부모형제 중 남자 55세 이하, 여자 65세 이하의 연령에서 허혈성 심장 질환을 앓은 경험이 있는 경우), 그 외의 인자로 비만과 운동부족, 고지혈증 등이 있다.
(3) 증상
환자는 대부분 갑자기 가슴이 아프다고 호소한다. 대개 '가슴을 쥐어짠다', '가슴이 쎄한 느낌이 든다'고 호소하며 주로 가슴의 정중앙 또는 약간 좌측이 아프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 없이도 '명치가 아프다' 또는 '턱끝이 아프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비전형적이기는 하지만 흉통 없이 구역, 구토 증상만 있는 경우도 있고, '소화가 안 된다', '속이 쓰리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흉통은 호흡곤란(dyspnea)과 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왼쪽 어깨 또는 왼쪽 팔의 안쪽으로 통증이 퍼지는 방사통의 경우가 동반되기도 한다. 흉통은 대개 30분 이상 지속되며 니트로글리세린을 혀 밑에 투여해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 때에 따라서는 흉통을 호소하기도 전에 갑작스런 실신(syncope)이나 심장마비로 응급실에 이송되어 가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광범위한 부위에 걸쳐서 급성으로 심근경색증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4) 진단 및 검사
1) 심전도 소견(EKG)
• 심전도는 급성 심근경색증 진단에 매우 중요한 검사입니다.
• 심전도의 가장 특징적인 소견은 ST절 상승소견이며, 일부 환자에서는 ST절 하강이나 T파 역위로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의약품정보 - 서울아산병원
급성심근경색(Cushing’s syndrome) – 서울아산병원
이은희 외9인 (2020)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제 7판 성인간호학,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