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의 경제와 산업내 무역
- 최초 등록일
- 2022.06.16
- 최종 저작일
- 2022.06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규모의 경제와 무역의 이익
2. 산업내 무역
3. 산업내 무역과 산업간 무역의 공존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규모의 경제와 무역의 이익
생산규모가 커지면 생산이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라고 한다. 이러한 규모의 경제를 잘 활용할 수 있으면 경제의 효율성이 대단히 커지는데, 무역이익은 규모의 경제와 매우 연관이 깊다.
경제행위의 궁극적인 목표는 물질을 소비함으로써 효용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그런데, 소비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생산이므로 우리가 얼마나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생산을 늘리는 방법에는 생산요소들의 양을 증가시키는 방법과 각 생산 요소들의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후자가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생산성 증가와 무역과의 관계를 살펴보자. 먼저 아담 스미스의 주장을 생각해 보자. 사회의 생산력은 분업(division of labor)에 의해서 크게 증가될 수 있다. 규모의 경제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해 스미스의 “국부론”에서 이용한 예를 살펴보자. "핀을 만드는데, 나름대로 숙련되고 기계를 잘 다루는 기능공이 혼자서 핀을 만들면 기껏해야 하루에 한 개정도 만들기도 쉽지 않다.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