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주차 최종본, 커패시터
- 최초 등록일
- 2022.06.08
- 최종 저작일
- 2020.12
- 18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론>
교류 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역할을 하는 것을 총칭하여 임피던스 라고하고 기호는 “ Z ”를 사용하며 단위는 똑같이 옴[Ω] 을 사용한다.
교류 회로에서 코일과 콘덴서 역할을 리액턴스 라고 하고 단위는 똑같이 옴[Ω] 을 사용한다.
< 중 략 >
전류의 자기 작용을 효과적으로 나타나게 만든 소자를 인덕터 또는 간단히 코일(coil)이라 한다.
인덕터가 가지고 있는 성질을 인덕턴스라 하며 이 값의 단위는 [H] (henry)를 사용 한다.
인덕터는 구리선을 서로 단락되지 않게 용수철 형태로 조밀하게 감아서 만든다. 이 용수철의 내부의 빈 공간에는 자속이 잘 통과할 수 있는 투자율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며, 변압기나 전동기에 사용되는 규소 강판이 대표 적인 예이다.
원통형 기둥의 틀에 도선이 나선형으로 빽빽하게 감겨 있는 인덕터를 솔레노이드라고 한다.
< 중 략 >
2. [표13.2]에 Vab와 Vbc의 값이 다르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라.
커패시터가 교류신호에 대하여 나타내는 고유한 저항 특성을 용량 리액턴스라고 하고 Xc라고 표시한다. 커패시터의 직렬 및 병렬연결에 따른 실험은 전체 커패시턴스 값 에 따라 Xc가 변하기 때문이다.
Xc= 1/2πfc 이고 커패시터가 직렬일 때 c = c1//c2//c3 로 계산하는 반면
병렬일 때 c = c1+c2+c3로 계산되기 때문에 ,즉 Vab와 Vbc는 Xc 에 비례함을 볼 수 있다.
3. [표13.3]에서 R1이 330Ω 일때와 1KΩ 일 때 LED의 점등시간이 다르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라.
LED쪽으로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LED의 밝기 및 점등시간 C1에 충전된 전하량에 비례한다. Q = CV이지만 CV값은 일정하므로 전하량은 값다.
저항이 커진다는 것은 전하가 조금씩 흐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저항이 더 큰 1KΩ이 330Ω 보다 전하가 조금씩 흐르고 이는 점등시간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