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학] 55년 체제의 성립과 전개과정 그리고 붕괴
- 최초 등록일
- 2003.12.12
- 최종 저작일
- 2003.12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55년 체제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은 것입니다. 중간고사 대체 레포트라 정말 열심히 준비한 것입니다. 성적도 잘 받았습니다.
목차
§1. 시작하는 말
§2. 55년 체제
§3. 55년 체제의 성립과 전개과정, 그리고 붕괴
§4. 맺음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2. 55년 체제
일반적으로는 1955년 좌우파 사회당이 합당하여 통일 사회당이 결성되자, 이에 대항하여 보수 정당, 즉 자유당과 민주당이 합당하여 자유민주당(자민당)을 결성함으로써 보수, 혁신의 양대 세력의 대결구도를 일컫는다. 이는 외견상 2대 정당제이지만, 실제는 보수세력의 총 결집체인 자민당이 압도적 우위를 점하는 일당 우위 정당체제였으며, 자민당의 집권은 55년부터 93년까지 38년 간 이어졌다. 이처럼 보수세력이 자민당으로 총 결집하고 이를 통해 보수세력의 안정적 장기집권을 공고화하게 된 것은, 냉전의 심화와 이에 따른 좌우 이념대립의 격화에 대응하기 위해서였다.
국내 세력 관계를 반영하는 정당 체제로서의 55년 체제 형성에는, 국제적인 냉전체제도 깊이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정당 체제 차원에서 논의되던 것이 전후 일본의 정치 시스템, 혹은 정치 경제 시스템 전반을 일컫는 명칭으로 확대, 전환되어 쓰여지기도 하였다.
보수세력들이 합동하게 된 배경으로는 그 당시 정국의 불안과 국정의 정체, 좌·우 사회당의 통일, 재계의 압력, 국세 정세 등이 있다.
참고 자료
現代日本의 政治, 공의식 저, 1998, 세종출판사
55년체제의 붕괴, 일본정치학회보, 1996
근현대 일본 정치사, 편집부편저, 2001, 은하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