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의 높임법을 학습자의 초급 중급, 고급 단계에 맞게 교수해야 할 내용과 방법
- 최초 등록일
- 2022.06.01
- 최종 저작일
- 2022.04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의 높임법을 학습자의 초급 중급, 고급 단계에 맞게 교수해야 할 내용과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높임말의 정의
2. 높임표현의 정의
3. 주체 높임법
4. 객체높임
5. 상대높임법
6. 압존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Ⅰ. 서론
최근 k-pop, 드라마, 영화, 한국의 음식 등으로 한국어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으며 한국어를 배우려는 사람이 대폭 증가되고 있어 외국인들이 더 쉽고 재미있게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방법과 도구들을 개발해야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높임말은 외국 사람들이 어렵다고 말하는 부분중의 하나이다. 좀더 변화된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교육과 수요에 맞는 한국어 교수, 학습 방법을 찾아야하며 양적인 팽창에 맞는 질적인 도약이 필요하고 교육의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의 높임법을 학습자의 초급 중급, 고급 단계에 맞게 교수해야 할 내용과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높임말의 정의
높임말은 남을 높여서 말하는 법으로 대화의 주체가 임금이거나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상대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하여 쓰는 언어 또는 말하는 것으로 사람을 존중하고 공경하는 마음이 담겨 있으며 학자에 따라 ‘존대법, 공손법, 겸양법, 경어법, 대우법’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존대어 사용을 결정하는 요건에는 나이, 사회적 지위, 계층적 서열, 친밀도, 격식성 성별, 상황과 같은 다양한 요소가 있다.
2. 높임표현의 정의
말하는 사람이 어떤 대상이나 듣는 이에 대하여 그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언어적으로 구별을 하여 표현하는 방식이나 체계를 말하며 우리말 높임 표현에는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의 세 가지가 있다.
3. 주체 높임법
문장 안의 행위를 하는 주어를 높이는 말이다.
직접 높임법
주체를 직접 높임, 사람 그 자체를 높임
간접 높임법
높여야 할 대상의 신체, 소유물, 생각 등과 관련된 말을 높임, 간접 높임의 문장에서 반드시 ‘(으)시’를 동반하며 ‘불편한 점’ ‘착오’ 등의 단어들도 간접 높임의 대상으로 본다.
(1) 주체높임은 문장의 주어가 지시하는 대상, 그 문장이 기술하는 행위, 상태, 존재, 높이는 대상은 서술어의 주체이며 주로 주어로 실현된다.
참고 자료
한국어 문법 총론 구본관 외 4인 공저 집문당, 2016년, P 29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개론, 이소현, 7주차 2강, P 137~141
한국어와 한국어교육, 박영순, 한국 문화사, 2010, P 158~167
https://m.blog.naver.com/ebaeum/221375569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