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크리에이터의 대중문화 영향력 한계
- 최초 등록일
- 2022.05.26
- 최종 저작일
- 2021.05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1인 크리에이터의 대중문화 영향력 한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요
2. 1인 크리에이터 소개
1) 1인 크리에이터란?
2) 1인 크리에이터 특성
3. 유튜브 시장분석
4. 결론
본문내용
1. 개요
대중은 아이돌에게 춤과 노래 이상의 인성 등의 무결점을 요구한다. 이는 대중이 본인의 모습을 투영하는 것보다 완전한(엘리트적) 요소를 갖춘 대상에게 더 끌린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대중에게 아이돌 못지않게 인기를 끌고 있는 1인 크리에이터들은 엘리트적 모습보다는 대중적 모습을 나타냈을 때 선호도가 올라간다. 1인 크리에이터들은 이전의 연예인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러한 차이의 원인과 영향력에 대해 유튜브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2. 1인 크리에이터 소개
2-1. 1인 크리에이터란?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라고 불리는 1인 크리에이터란 개인이 유튜브, 아프리카TV 등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통해 직접 생산자가 되어 콘텐츠를 기획, 생산, 유통하는 것을 말한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누구나 손쉽게 제작할 수 있고 접근하기도 쉬워, 정보를 소비하는 이용자이면서 동시에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생비자(prosumer)의 영역으로 확장되었다(박진선, 2020).
2-2. 1인 크리에이터 특성
첫째, 일방적으로 대중에게 전달하던 기존의 미디어와 달리, 인터넷 개인방송 플랫폼은 대개 ‘대화창’, ‘채팅창’을 통해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소셜미디어 형식의 미디어 환경을 제공한다. (김해원·강혜원·백지연, 2018) 대중과 공감대를 형성하여 친근하게 다가가고, 댓글 등을 통해 시청자들이 콘텐츠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하여 친밀감을 형성한다.
참고 자료
원용진(2010). 새로 쓴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출판사>
오현주, 방희경(2018). 아이돌의 정동노동과 노동윤리.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제91, 76–117.
박정이, 임지은, 황장선(2018). 유튜브 브랜드 채널 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한국광고홍보학보>. 제20권 제2호, 95-151
박진선(2020). 크리에이터는 어떻게 노동하는가? :1인 미디어 생산 경험에 대한 비판적 고찰. <SBS>.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8권 제1호, 73-110
김해원, 강혜원, 백지연 (2018). 크리에이터에게 이용자와 '상호작용'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인터넷 개인방송 창작자에 관한 에스노그래피. <서울:방송문화진흥회>.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9권 2호, 49-90
박선경(2020). 먹방 유튜버의 매력성·신뢰성이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콘텐츠 몰입의 매개효과 및 위험 지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OOH광고학회>. 제17권 4호, 7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