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프로세서 과제 A+]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차이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2.05.23
- 최종 저작일
- 2021.12
- 8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소개글
"[마이크로프로세서 과제 A+]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차이점을 비교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문
1. 마이크로프로세서
2. 마이크로컨트롤러
3.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차이점
III. 결론
본문내용
I. 서론
컴퓨터는 연산 장치, 중앙처리 장치, 입출력 장치, 주기억 장치 및 보조기억 장치로 구성된다. 초기의 컴퓨터는 현재에 비교할 수 없이 무겁고 컸으나, 집적회로 기술이 발달하면서 컴퓨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이루어졌다. 결국 중앙처리 장치를 하나의 IC 칩으로 집적시켜 만든 반도체 소자가 개발되었고, 이는 마이크로프로세서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 소자에 메모리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더해 작은 컴퓨터처럼 만들어진 소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라고 부른다.
II. 본론
1.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아주 작은 처리기를 뜻하며, IC 집적 기술, 시스템 프로그래밍, 컴퓨터 구조 기술을 묶어 단일 칩으로 집적화한 반도체 소자로 구성된 컴퓨터 프로세서를 뜻한다. 집적 회로를 발전시킨 초고밀도 집적회로(VLSI) 기술로 제작되었으며, 수십만 개의 전자회로 소자를 작은 실리콘 칩에 내장해 제작된다. 사용자 명령어들에 의해 동작하며, 메모리에 내장되어 있는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한다. 또한 CPU 또는 MPU로도 불린다. 내부적으로는 레지스터, 제어장치, 연산장치를 포함하여 연산에 특화된 기능을 갖는다. 스스로 연산만 가능하며 주변 장치가 있어야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조는 실행 장치(EU), 어드레싱 장치(AU), 버스 인터페이서(Prefetch Queue), 명령어 장치(IU)로 구분되어 있다. 실행 장치(EU)는 연산을 수행한 후 결과를 레지스터에 보관하는 연산장치(ALU), 명령어 해석기에서 해석된 제어 신호들을 출력하여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어장치(CU), 결과를 보관하는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명령어 장치(IU)는 메모리에서 가져온 명령어를 저장하고, 저장된 명령어는 명령어 해석기에서 명령어를 해석한 후 제어 장치(CU)로 전달한다. 어드레싱 장치(AU)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메모리 및 입출력 데이터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의 주소를 매핑해준다.
참고 자료
따라하면서 배우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허경용, 한빛아카데미, 2019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안, 허선영, 메가존아이티평생교육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