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풍수_부동산을 풍수적으로 분석하기
- 최초 등록일
- 2022.05.10
- 최종 저작일
- 2022.0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풍수의 이해
1. 풍수지리의 개념
2. 풍수지리 이론의 기초
Ⅱ. 부동산의 선정
1. 부동산의 선정
2. 현장사진
3. 선정한 부동산의 지명에 얽힌 이야기
Ⅲ. 선정한 부동산의 지리오결에 입각한 분석
1. 용, 혈, 사, 수, 향의 이해
2. 지리오결에 입각한 분석
Ⅳ. 부동산의 풍수적인 장단점
1. 부동산의 풍수적인 장점
2. 부동산의 풍수적인 단점
본문내용
1. 풍수지리의 개념
풍시지리는 바람, 물, 땅의 이치를 다루는 것으로써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은 바람, 물, 땅이 있어야 존재가 가능하며 바람과 물은 흐름으로써 생명을 유지하고, 이러한 흐름은 지리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처럼 바람, 물, 땅의 상태를 말하는 것을 장풍득수라고 하는데, 이는 장소의 건강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컫는다. 그러므로 풍수는 지리에 의해 변화를 달리하며, 그래서 풍수지리라 부르는 것이다. 지형의 생김새에 따라서 그 지역에 작용하는 바람과 물의 흐름이 다르고, 서식환경이 다른 것이다. 지리는 풍수변화에 영향을 주며, 풍수변화는 인간을 비롯하여 생태계에도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풍수지리에서 지형지세를 중요시 하는 부분이다.
인간의 삶에서 자연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았던 때는 산업화 이전으로 볼 수 있다. 자연에 의존하는 성격이 강했던 시기에는 기후나 지역 등의 자연적인 조건으로부터 민감해질 수밖에 없었다. 자연의 조건과 형상에 따라 이를 효과적으로 누릴 수 있는 논리를 궁리하게 되면서 풍수지리가 발전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풍수지리는 지역의 바람, 물, 땅의 기후와 풍토에 적합한 삶의 터를 가꾸는 것이다. 자연환경에 순응하기 위한 입지의 선택에서 공간의 구성이 중요하게 자리 잡게 된 것이다.
2. 풍수지리 이론의 기초
풍수지리 이론의 기초를 살펴보면 삼신오제와 음양오행사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삼신 오제 사상에서 삼신은 하느님을 대신하여 사람의 생사와 관련된 역할을 하며, 우리나라의 고건축물이나 연못형태에서 삼신사상을 찾아 볼 수 있다. 오제는 하느님의 작용을 도와주는 다섯 신으로서 동·서·남·북·중앙이라는 각각의 위치에 따라서 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참고 자료
국승기 / 2014 / 풍수지리건축이 경영환경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경연 / 2013 / 풍수지리 이론을 활용한 저탄소 녹색도시 계획지표
정재우 / 2013 / 풍수지리에서 혈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고찰 : 음택을 중심으로
강정희 / 2013 / 풍수지리적 요인이 부동산 구매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을 중심으로
김기혁외 공저 / 2008 /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지명
만석동 / 2014 /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1547&cid=40942&categoryId=33804
인천광역시 동구청 / 2014 / http://www.icdonggu.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