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요약 [15. 심장장애 대상자 간호]
- 최초 등록일
- 2022.05.04
- 최종 저작일
- 2021.04
- 3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현문사
목차
Ⅰ. 구조와 기능
Ⅱ. 자료수집
Ⅲ. 심장장애 대상자 간호
본문내용
Ⅰ. 구조와 기능
* 구조
- 심장 : 300g, 근육기관, 12.5cm, 7.5cm (성인주먹크기)
- 좌우 사이막 (중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
- 1분 72회, 1회 70mL, 1분 5L, 하루 7000L 이상
- 심낭에 둘러싸여 있다. 장쪽 심장막, 벽쪽 심장막 사이인 심낭감에 10-20mL 심낭액 (윤활제 역할)
- 심장 3개 층 (심외막, 심근, 심내막)
1. 심방과 심실
* 대정맥 → 우심방 → 우심실 → 폐동맥
→ 폐정맥 → 좌심방 → 좌심실 → 대동맥
- 좌심실은 두께가 8-15mm 우심실보다 2-3배 두껍다.
→ 전신으로 나가야해서 더 강한 수축을 위해 두꺼움
- 젊은 성인 동맥 혈압 100-120mmHg 우심방 0-5mmHg
→ 압력차이 때문에 전신순환을 거쳐 돌아오게 된다.
2. 판막
→ 4개의 심장판막은 심방과 심실을 통과 할 때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한다. (역류방지). 압렵과 혈액량에 반응함.
1) 방실판막
-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 [삼천판막] 3개의 소엽
-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 [이첨판막(승모판막)] 2개의 소엽
→ 힘줄끈과 꼭지근에 의해 심실벽에 고정되어 있다.
→ 역류를 방지하고 판막을 지지
2) 반달판막
-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 [폐동맥판막]
-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 [대동맥판막]
→ 역류 방지
3. 심장(관상)동맥
- 대동맥판막 바로위에서 나온다,
→ 왼쪽과 오른쪽, 2개의 가지로 나뉜다.
- 평균동맥압(MAP)는 적어도 60-70 이상 유지해야함.
* 왼심장동맥
- 왼전방하행 (LAD) 85%을 공급
→ 주로 좌심실과 우심실 일부에 혈액을 공급
- 휘돌이동맥
→ 좌심방과 좌심실의 옆면과 뒷면, 심실사이막부위 혈액공급
* 오른심장동맥
→ 우심실과 사이막 일부, 굴심방결절에 혈액을 공급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