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정치사회학> 중간고사 내용정리
- 최초 등록일
- 2022.05.01
- 최종 저작일
- 2022.04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2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고려대학교 <정치사회학> 중간고사 내용정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03.22> - 다원주의와 엘리트주의
INTRO....
구조기능주의 관점 – 질서와 합의의 강조
에밀 뒤르켐 : 사회적 사실 – 집합의식, 종교의 사회적 기능, 자살론
탈콧 파슨스 : 사회체계이론, AGIL모델
갈등주의의 관점
사회가 유지되는 것은 공유된 가치가 아니라 권력을 통한 강제로 인해 유지
변동과 갈등이 사회의 가장 본질적이고 역동적인 측면이다.!
사회불평등에 관한 관점 차이
- 기능주의 관점 : 불평등 또한 기능적이다. 왜냐하면 한정된 자원, 책임의 위계, 우수성과 보상체계 등
- 갈등주의 관점 ; 불평등은 착취와 지배에 기인한다. 불평등은 사회적 긴장의 부당한 원천이다 사회의 적절한 긴장관계가 유지될 수 있기 떄문.
갈등주의 관점 불평등에 관한 학자들의 관점
①WEBER의 관점
- 계급 CLASS : 경제적 불평등
- 파당 PARTY : 정치적 불평등
- 지위집단 SOCIAL STATUS (ex: 존경, 존중) : 사회적 불평등
② KARL MARX
- 생산관계, 착취의 관계로서의 계급. 나머지는 부차적인것이고, 경제적 불평등이야 말로 진정한 불평등
③ Beth E. Vanfossen가 말하는 통제의 기제란?
1. Force:강제와 처벌
2. 가치의 정당화
3. 사회이동의 기회 부여
4. 낮은 기대
정치사회를 보는 시각
① 사회중심적 국가: 다원주의 시각. 사회1+사회2+...사회n= 국가.
② 국가중심적 사회 : 엘리트주의 국가. 국가라는 제도하에 사회를 만듦. 국가가 사회를 만듦. 지배계급들이 모여 사회를 만들어 낸다.
------------------------------------------------------------------
정치사회학의 모델(1) ; 엘리트론의 시각
=>자원으로서의 권력과 영향력이 엘리트와 비엘리트에게 분배되는 방식이라고 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