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세계와 시민] 기후변화 관련 보고서

경희대학교 필수교양 '세계와 시민' 과목에서 GCP 보고서로 제출한 글입니다. 기후변화의 실상을 제시하고 모순을 분석하며 개인적인 견해를 덧붙였습니다. 최종 성적 A+ 받았습니다. 모쪼록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2.04.30 최종저작일 2020.06
10P 미리보기
[세계와 시민] 기후변화 관련 보고서
  • 미리보기

    소개

    경희대학교 필수교양 '세계와 시민' 과목에서 GCP 보고서로 제출한 글입니다.
    기후변화의 실상을 제시하고 모순을 분석하며 개인적인 견해를 덧붙였습니다.
    최종 성적 A+ 받았습니다.
    모쪼록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녹아내리는 빙하와 울부짖는 북극곰, 마을을 휩쓸고 가버린 허리케인과 점점 잠기어 가는 섬들. 흔히 접해봤던 이야기들이다. 이들의 공통 키워드가 무엇일까? 바로 ‘기후변화’다. 그렇다면 기후변 화의 원인은 무엇일까? 아마 인간을 원인으로 꼽는 사람들이 대다수일 것이다. 실제로 기후변화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일어나게 된 현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후변화의 모든 부분이 인간 때문 에 일어난다고는 단정 지을 수는 없다. 하지만 인간의 탓이 큰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는 현재진행형이고 세계 각국들은 그것이 불러올 파장을 막기 위해 노력 중이다. 그러나 두 현상은 그 범위가 전 지구적 차원에서 일어난다는 점에서 각 나라들의 노력만으로는 역부족이다. 따 라서 전 지구적 규모의 협력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배경 속에서 기후변화협약들이 탄생하였다.
    1992 년 브라질 리우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을 시작으로 교토의정서를 거친 후, 현재 파리협정 체제하에 기후변화 대비책이 시행되고 있다. UNFCCC 는 선진국과 개도국이 ‘공동의 그러나 차별화된 책임’에 따라 각자의 능력에 맞게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한 협약이다. 후의 두 협약 과 달리 구체적으로 개별적인 감축 목표를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당사국들을 세 부류로 구분하고 각 자 다른 의무를 부여했다. 본격적인 기후협약은 1997 년 일본 교토에서 채택된 ‘교토의정서’라 할 수 있는데 국제적으로 합의한 최초의 온실가스 의무감축 협정이라는 면에서 의의가 크다. 기후변화의 주범인 6 가지 온실가스를 정의했으며 신축성 메커니즘을 도입한 협약이다. 이때, 신축성 메커니즘은 청정개발체제(CDM), 배출권거래제(ETS), 공동이행제도(JI)를 일컫는다. 아쉽게도 교토의정서는 시작 은 좋았으나 미국의 탈퇴와 우산그룹 국가들의 연이은 불참 선언으로 위기를 맞게 된다. 이후 허울 뿐인 약속에 불과해졌고 결과는 실패로 돌아갔다.

    참고자료

    · ‘기후변화와 녹색 산업’ - 2010, 박선경, 13~14쪽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904509
    · 탄소배출권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 사전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1982&cid=43667&categoryId=43667
    · 배출권 거래제 – 구글. ETS 브리프 1호 (2015. 10.)
    · https://icapcarbonaction.com/ko/?option=com_attach&task=download&id=383
    · 금융위기의 유럽 탄소배출권시장에 대한 영향 분석, (박광수, 이영기)
    · 북구 3국의 탄소세 도입 경험과 시사점, (김영덕, 한현옥)
    · 한국 탄소 배출권 거래제의 규제포획에 관한 연구 (진상현)
    · 불편한 진실 –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하여 http://climatetimes.org/?p=1206
    · 탄소 배출권 정의 – 두산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381907&cid=40942&categoryId=31819
    · 배출권거래제 – 기후변화홍보포털 https://www.gihoo.or.kr/portal/kr/biz/kyoto.do
    · 기후협약 – 대한민국 외교부 http://www.mofa.go.kr/www/wpge/m_20150/contents.do
    · 공동이행제도 – CDM 인증센터
    · http://www.koreacdm.com/cdm/about;jsessionid=18CF4052F1E70278875DA046B49418B8
    · CDM – 기후변화홍보포털 https://www.gihoo.or.kr/portal/kr/biz/cdm.do
    · 지구온난화에 속지마라(프레드 싱거, 데니스 에이버리)
    · 쿨 잇(비외론 롬보르)
    · 파리 기후변화 협정, 지구 살리는 마지막 기회?. 마이더스, 2016, Vol.2016(1), p.72
    · 김성진 (2016). 파리기후체제는 효과적으로 작동할 것인가?. 국제정치논총, 56(2), 359-401
    · 이일호 (2017). 파리기후협정 전후 시장 메커니즘의 발전과 전망 ― CDM, JI 및 SDM 을 중심으로. 환경법연구, Vol.39(2), p.261
    · 박시원 (2016). 파리협정과 Post-2020 신기후체제의 서막. 환경법과 정책, 16, 285-322
    · 유동현 외 1 명 (2013). 최근 주요국의 탄소세 관련 현황 및 시사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 13-44 호
    · 이중교 (2018). 탄소세 및 배출권의 국경조정에 대한 주요 법리적 쟁점 검토. 환경법과 정책, 20, 127157
  • 자료후기

      Ai 리뷰
      기후변화에 대한 두 집단의 상반된 주장을 균형 있게 살펴보고, 탄소세와 탄소배출권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책을 모색하였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