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박물관미술관 SWOT 분석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22.04.03
- 최종 저작일
- 2021.04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박물관미술관 SWOT 분석한 리포트로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을 비교분석하였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SWOT 분석이란?
2. SWOT 분석을 위한 기관 선정
Ⅱ. 본론
1. 국립현대미술관 SWOT 분석과 대응전략
가. SWOT 분석
나. 대응전략
2. 국립중앙박물관 SWOT 분석과 대응전략
가. SWOT 분석
나. 대응전략
3. 국립현대미술관과 국립중앙박물관 비교·분석
가. 공통점
나. 차이점
Ⅲ. 결론
본문내용
1. SWOT 분석이란?
SWOT 분석(SWOT analysis)은 닐 코틀러와 필립 코틀러가 『박물관 전략과 마케팅(Museum Strategy and Marketing)』 (Jossey-Bass Publishers, 1998)에서 제시한 전략적 시장 계획 시스템(strategic market planning system)에 기반한 것으로 내부의 환경을 분석하여 강점(Strength)과 약점(Weakness)을 발견하고, 외부환경을 분석하여 기회(Opportunities)와 위협(Threats)을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강점과 기회 요소, 강점과 위협요소, 약점과 기회 요소, 약점과 위협요소의 4가지 분석을 통해 대응전략을 개발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박물관·미술관 경영 4 주차 리포트에서는 두 기관을 선정하고 SWOT 분석을 이용하여 각 항목을 정리하고, 4가지 대응전략을 제시할 것입니다.
2. SWOT 분석을 위한 기관 선정
저는 한국의 국립박물관·미술관 중에서 국립중앙박물관과 비교·분석할 곳을 국립현대미술관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박물관·미술관 경영의 4 주차 리포트를 통하여 국립현대미술관과 국립중앙박물관의 내부환경(역량)과 외부환경을 SWOT로 분석하고 비교해봄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문화예술과 사회의 흐름 속에서 박물관·미술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생각해보았습니다.
참고 자료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닐 코틀러&필립 코틀러(1998), 『박물관 전략과 마케팅(Museum Strategy and Marketing)』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9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20), 2020 문화예술 트렌드 분석 및 전망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8), 국공립 박물관·미술관 관람객 재방문율 및 계층 분석을 위한 시범 조사
중앙대학교(2008), 미술관 협력망 구축·운영 방안 연구
한국정책평가연구원(2013), 국립현대미술관 전략적 성과관리체계 구축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3), 국립현대미술관 중장기발전계획 수립 연구
문화체육관광부(2016), 국립현대미술관 공공법인 운영 방안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2001), 국립중앙박물관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2007), 국립중앙박물관 조직 및 업무진단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2014), 박물관 몰 조성 타당 조사 연구
김현경(2017), 박물관의 사회적 기능 확대 방안 연구 - 포용적 박물관을 중심으로
프라임전략연구원(2017), 국립중앙박물관 조직진단을 통한 운영 효율화 방안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museum.go.kr/kor/
국립현대미술관. http://www.mmca.go.kr/
도재기(2020.04.24.), [도재기의 현대미술 스케치] (2)국립현대미술관 수장고에서,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05&code=96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