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 전공실험 열공학, 열실험 A+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2.03.28
- 최종 저작일
- 2021.06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1. 열전대 보정 실험
2. 냉동기 성능계수의 측정 실험
본문내용
1. 실험목적
열전대의 결선법 및 사용법을 익히고 온도와 기전력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2. 이론
[그림 1]의 왼쪽 그림처럼 양끝이 접합되어 있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선이 있고, 한쪽 접점에 열을 가하면 닫힌 회로 내에서 소량의 전류가 흐르게 되는 제백효과가 일어난다.
또한 반대의 현상도 일어날 수 있다.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폐회로에 전류를 흘리면 양 접점의 온도가 달라지는 현상을 펠티에 효과라 하고, 제백 효과와 펠티에 효과를 통칭하여 열전 효과라 한다. 제백 효과는 온도를 재는 열전대에 응용된다. [그림 1] 오른쪽과 같이 온도차가 있을 때 회로를 단절시키면 전류는 흐리지 않게 되지만 전위차가 생긴다.
전위차 즉 전압은 볼트미터로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전압은 온도차에 비례하므로 한 접점의 온도를 알고 있다면 다른 쪽 접점의 온도를 전압을 측정함으로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온도를 잴 수 있게 만든 전선을 열전대라고 한다.
4. 토의
실험 1에서 추세선의 기울기는 0.0236mV/℉ 이고 이는 2.36mV/100℉로 표현 할 수 있다. [표 1]의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실험 1 갈색에서 사용된 열전대는 output이 2.3mV/100℉인 ISA type K 이며 재질은 chromel-alumel임을 추정할 수 있다.
실험 2에서 추세선의 기울기는 0.0304mV/℉ 이고 이는 3.04mV/100℉로 표현 할 수 있다.
[표 1]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output이 3mV/100℉인 열전대가 ISA type J (iron-constantan), ISA type T(copper-constantan) 2가지가 있다. 이러한 경우 열전대를 max temp까지 가열하여 둘 중 어느 재질인지 선택할 수 있으나, 실험에서 물의 온도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100℃(212℉) 이상으로 열전대를 가열 할 수 없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