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개론(1) 기말과제 학습내용 요약 정리
- 최초 등록일
- 2022.03.19
- 최종 저작일
- 2019.06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레포트 점수 만점(10점)을 받았으며 해당 과목 A+를 받은 과제입니다. ^^
목차
1. 행정학의 이해
2. 행정환경
3. 행정학의 발달과정과 주요이론
본문내용
1장 행정학의 이해
제1절 행정의 본질
1. 행정의 개념
행정의 개념이 다의적이고 가변적이며 시대와 공간에 따라 유동성 및 다양성을 띠고 있어 한마디로 정확하게 규명하거나 단일의 개념을 도출하기란 어려우나, 공익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공문제의 해결 및 공공서비스의 생산‧분배와 관련된 정부의 제반활동과 상호작용으로 정의될 수 있다.
1) 넓은 의미의 행정
고도의 합리성을 수반한 협동적 인간노력의 형태, 공행정과 사행정 모두 포함
2) 좁은 의미의 행정
정부관료제를 중심으로 한 활동으로 행정부의 구조와 공무원의 활동, 공행정만을 의미
3) 거버넌스(Governance)로서의 행정
공익을 달성하기 위한 공공문제의 해결과 이를 위한 정부 외의 공사조직들 간의 연결 네트워크를 강조하는 활동
4) 행정의 개념적 특성
① 규범적으로 공공성과 공익성을 지향
② 공공서비스의 생산‧공급‧분배와 관련된 모든 활동을 의미
③ 공공서비스의 생산 및 공급을 정부가 독점하지 않음
④ 행정은 정치과정과 밀접하게 연관
⑤ 행정은 합리성과 기술성, 보편성과 특수성을 가짐
2. 행정학적 행정개념
1) 행정관리설(1880년대~1930년대)
- 배경: 엽관주의(spoils system)의 폐단을 극복하기 위해 제정된 Pendleton법 제정 직후 등장
- 수립된 법령이나 이미 결정된 정책을 합리적으로 관리‧집행
- 정치‧행정이원론, 공‧사행정일원론
- 관련 학자: 우드로 윌슨, 화이트
2) 통치기능설(1930년대~1940년대)
- 배경: 1930년대 세계경제공황을 계기로 등장
- 사회문제를 처방하기 위한 행정의 적극적 가치판단 기능 강조 (정책결정+정책집행)
- 정치‧행정일원론, 공‧사행정이원
- 관련 학자: 디목, 애플비
3) 행정행태설(1950년대~1960년대)
- 행정인의 행정행태를 중시하는 사회심리학적 개념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