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1인 가구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1인 가구의 생활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교육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2.03.18
- 최종 저작일
- 2022.03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가족생활교육
주제: 최근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1인 가구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1인 가구의 생활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교육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1인 가구의 정의 및 특성
2. 1인 가구의 생활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
3. 효과적인 교육내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난해 1인 가구는 615만여 가구로 전체 가구(2089만 가구)의 30%를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30% 선을 넘겼다. 2018년에는 23만 가구(4.1%)가 증가하였는데, 지난해에는 30만 가구(5.1%) 증가를 하여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연령대로는 ‘70대 이상’의 노인이 18%로 가장 많으며 이어서 20대(18%), 30대(17%), 50대(16%) 순이었다. 1인 가구의 급증은 20대가 주도를 하고 있다. 2018년에 102만 가구였던 20대의 1인 가구가 작년 약 10% 증가하여 112만 가구로 집계가 되었. 서구의 청년들처럼 독립적인 생활을 추구하는 ‘Z세대’의 취향, 그리고‘나홀로족’ 유행의 결과라는 설명도 나오고 있으며, 집값의 급등기에 생애최초특별공급 등 기회를 잡으려고 하는 수요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부양가족 1명당 5점씩 가점을 주는 현행 주택청약의 가점제 아래에서는 미혼 1인 가구 세대주라고 한다면 분양의 당첨은 꿈도 못 꾼다. 그나마 특별공급의 물량에 도전을 해보는 것이 확률이 있을 수 있다. 1인 가구의 증가세에 비례해 ‘나홀로 소비’나 ‘1코노미’ 현상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참고 자료
강은나 외.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보건사회연구, 2017
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www.familynet.or.kr)
권연화 외. 1인가구의 연령별 특성에 따른 주거상하향 이동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2018
정현숙, 가족생활교육, 신정,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