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롱드난을 중심으로 본 프랑스고등법원의 왕권견제
- 최초 등록일
- 2022.03.17
- 최종 저작일
- 2020.04
- 5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1,000원

소개글
"프롱드난을 중심으로 본 프랑스고등법원의 왕권견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프랑스 고등법원
Ⅲ. 프롱드 난
Ⅳ. 프롱드 난에서 나타난 고등법원의 왕권견제
Ⅴ.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프랑스 혁명 발발 이전, 앙시에 레짐의 프랑스 사회에서 절대군주의 위용 아래 민중들은 고난 에 빠져있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프랑스 혁명이 발생할 수 있었던 데에는 왕권신수설의 등장 과 민중들의 계몽, 부르주아 계급의 결집 등 다양한 원인이 작용한다. 이때 민중들을 규합시 키고 정치적 목소리의 힘을 깨닫게 해 준 것은 민중과 왕정의 매개체 역할을 한 프랑스 고등 법원이었다. 특히 고등법원은 프롱드 난을 통해 왕권에 대항하여 민중들과 귀족 자신들의 요 구사항을 관철하고자 하였다.
고등법원은 이렇게 왕권과의 대립을 통해 자신들의 권한을 늘리고 절대군주의 등장을 견제하 였다. 그렇기에 이들이 격렬하게 대립하는 프롱드 난에서는 고등법원의 왕권견제양상이 잘 나 타난다. 그렇다면 프랑스 고등법원이 왕권을 견제할 수 있었던 장치는 무엇이 있을까. 절대왕 정시대의 개막 직전 왕과 귀족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그리고 어떠한 쟁점을 중심으로 견 제가 이루어졌는지, 프랑스 고등법원의 왕권견제를 프롱드난의 발생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김익진 (2010). 앙시엥 레짐 하의 부르주아 계급의 사상. 프랑스고전문학연구 13권 13호. 한국 프랑스 고전문학회
노명식 (2011). 프랑스 혁명에서 파리 코뮌까지. 책과 함께. 38-40 서정복 (2012). 프랑스의 절대왕정시대. 푸른사상. 85-99
이영림 (1955). 파리 고등법원의 프롱드난 연구. 梨大史苑. 409-452 이영림 (2010). 정치적 타협과 저항. 프랑스사 연구(23), 155-184 이영리 (2009). 루이 14세는 없다. 푸른역사. 178-191
이영림 (2018). 프랑스 절대군주정의 성장과 의례. 서양사론. 137권 137호. 171~205
홍용진 (2012). 프랑스 필리프 5세 통치 시기 정치적 문제들과 왕권의 대응. 서양중세사연구. 29권 29호 10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