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대금 결제
- 최초 등록일
- 2022.03.13
- 최종 저작일
- 2022.03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목차
1. 무역대금 결제시기
1) 선지급
2) 즉시급
3) 후지급
4) 할부급
2. 무역대금의 결제방법
1) 송금환 결제
2) 환어음 결제
3) 상호계정
본문내용
1. 무역대금 결제시기
무역대금의 결제시기는 상품 또는 무역서류의 인도시기 이전에 진불하는 선지급, 동시에 지불하는 즉시급, 나중에 지불하는 후지급 등이 있고 대금을 분할해서 지급하는 할부급도 있다. 국제무역거래에서는 매도자 ․매수자 모두 상대방에 대한 신용위험이 크기 때문에 즉시뚤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가 된다.
1) 선지급
선지급은(Payment in advance)은 물품이나 무역서류가 인도되기 전에 대금지급이 먼저 이루어지는 것이다. 수출자는 유리하지만 수입자는 그만큼 위험을 부담하므로 본 ․지사간의 거래나 수출자에 대해서 신용상의 위험이 없는 경우에만 사용되는 거래이다.
보통 주문불(cash with order: CWO) 인도전지급(cash before delivery: CBD) 등이 있고, 신용장의 경우에도 미리 대금을 받을 수 있는 전대신용장(Red-clause L/C)이 있다.
2) 즉시급
즉시급(immediate payment)은 물품이나 무역서류의 인도와 동시에 대금지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현물상환도지급(cash on delivery: COD) 서류상환도지급(cash against document: CAD) 등이 있고, 화환어음 추심의 경우에는 지급도조건(document against payment: D/P), 신용장의 경우 일람출급신용장(Sight L/C)에 의한 대금지급이 있다.
3) 후지급
후지급(deffered payment)은 물품이나 무역서류가 인도된 이후에 대금지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수입자는 유리하지만 수출자는 그만큼 위험을 부담하므로 본 ․지사간의 거래나 수입자에 대해서 신용상의 위험이 없는 경우에만 사용되는 거래이다. 외상판매(sale on credit) 거래이며, 화환어음추심의 경우에는 인수도조건(document against acceptance: D/A) 신용장의
경우 기한부신용장(Usance L/C)에 의한 대금지급이 있다.
4) 할부급
할부급(installment)은 물품의 대금을 여러 번에 걸쳐 나누어서 지급하는 방식이다. 산박, 항공기, 플랜트, 해외건설공사 등과 같이 대금이 거액이고 이행기간이 긴 계약에서 주로 사용되는 결제방법이다.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