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론, 정치학원론, 행정학원론] 엘리트 이론
- 최초 등록일
- 2003.11.30
- 최종 저작일
- 2003.11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원
2. 발전
1) 고전적 엘리트론
2) 민주적 엘리트주의
3) 급진적 엘리트론
3. 방법과 가치
1) 엘리트론자들의 주장(모스카 & 파레토)
2) 문제점
3) 가치
4. 국가기구
1) 정치지도력
2) 정부의 관료제화
3) 국가 구조의 집중화와 파편화
4) 법과 입법
5) 국가와 경제정책의 연관성
6)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의 엘리트론의 이미지
Ⅲ. 결론
본문내용
1. 기원
엘리트주의는 소수 지배집단에 의한 통치가 규범적으로 바람직하다는 신조이자 고대 정치철학자들의 주장이다. 플라톤의 <공화국론>에서 고대 소피스트인 트라시마쿠스는 권력은 국가와 정치의 기초라고 주장했다. 소크라테스의 영향하에서 트라시마쿠스는 통치자가 동의를 획득하기 위해 수완과 지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정했지만 통치자가 피치자의 이익을 위해서 통치한다는 것을 인정하지는 않았다. 즉, 플라톤이 본 트라시마쿠스의 입장은 서구 정치철학에 있어서 ‘정치적 현실주의’의 전통을 설립했다. 또한 이는 고대 인도 정치철학의 가장 유명한 저작인 카우틸리야의 <Arthashastre>에서도 제시되었다.
르네상스시기 국가를 획득하고 통치하는데 있어서 권력과 기만의 역할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경험적으로 주장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서도 ‘정치적 현실주의’는 가장 첨예하게 재진술되었다. ‘정치적 현실주의’는 인간본성에 대해 특히 비관적이었고 대중의 자치정부를 평가하는 정치이론들에 대해 경멸적이었다. 플라톤에서 모스카에 이르기까지 현실주의자들은 조작과 기만이 체제의 기초와 안정성을 설명하는 장치라고 강조했다.
참고 자료
<국가란 무엇인가>, 임영일,이성형 지음, 까치, 1985
<국가사상사>, 정치사상연구회, 거름, 1985년
<국가이론의 재조명>, 로버트알포드,로저 피리드랜드 지음, 인간사랑, 1990
<엘리트이론과 계급이론에 관한 비교연구>, 전기원, 1985
<엘리트이론과 민주주의>, 전중배, 1991
<정치학>, 이극찬, 법문사,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