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학 고혈압 보건교육
- 최초 등록일
- 2022.03.02
- 최종 저작일
- 2021.06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대상자의 특성
2. 건강문제
3. 보건교육 주제
4. 보건교육 방법
5. 보건교육계획안
6. 보건교육 수행과 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혈압은 혈압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높아진 상태를 의미한다. 혈압은 동맥혈관 벽에 대항한 혈액의 압력을 말한다. 혈액의 압력은 심장이 수축하여 동맥혈관으로 혈액을 보낼 때 가장 높은데, 이때의 혈압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하고. 심장이 늘어나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가장 낮은데, 이때의 혈압을 이완기 혈압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30%가 이러한 혈압이 높아진 증상인 고혈압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은 대한고혈압학회와 미국심장학회의 혈압의 기준이다.
① 정상 혈압 :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확장기 혈압 80mmHg 미만
② 고혈압 전 단계 : 수축기 혈압 120~139mmHg이거나, 확장기 혈압 80~89mmHg
③ 1기 고혈압(경도 고혈압) : 수축기 혈압 140~159mmHg이거나, 확장기 혈압 90~99mmHg
④ 2기 고혈압(중등도 이상 고혈압) : 수축기 혈압 16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 100mmHg 이상
고혈압은 교감 신경에 의한 신경성 요인 및 레닌-안지오텐신 기전에 의한 체액성 요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유전, 흡연, 남성, 노령화는 고혈압의 유발을 촉진하는 요인입니다. 고혈압을 유발하는 요인에는 심혈관 질환의 가족력,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60세 이후 노년층, 성별(남성과 폐경 이후 여성), 식사성 요인(Na, 지방 및 알코올의 과잉 섭취, K, Mg, Ca의 섭취 부족), 약물(경구 피임약, 제산제, 항염제, 식욕억제제) 등이 있다.
고혈압 환자는 우선 체중 조절, 염분 섭취 제한, 알코올 섭취 제한 등 생활습관을 교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체중 조절이 중요한데, 과체중이나 비만 환자의 경우에는 저열량식을 시행하여 체중을 감량해야 하고 이로써 심혈관계 위험 인자를 줄이고 약물 요법의 강압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섭취 열량을 제한하면 단백질 섭취가 제한될 수 있다. 신장 기능이 정상으로 유지되는 한 체중 kg당 1~1.5kg의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고혈압,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322
이보은. (2012). 행복한 아침밥상.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